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1.22 19:44 수정 : 2009.01.22 19:44

사설

여섯 사람이 숨진 용산 대참사의 진상 규명을 위해 그저께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이 행한 발언은 상식 이하였다. 신지호 의원은 화재의 원인과 관련해 “(농성자들의) 고의 방화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으며, 이인기 의원은 “어떻게 경찰에 책임을 묻냐. 다 죽자고 하는데”라며 사망자들을 자폭범으로 비유하기도 했다. 농성자들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어이가 없다.

경찰이 무리하게 진압을 시도하지 않았더라면 이번 참사는 아예 일어나지도 않았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설령 경찰을 투입하더라도 인화물질이 있는 점을 고려해 소화장비를 준비하는 등 최소한의 안전 조처만 했더라도 인명 피해는 막았을 것이다. 이런 상식적인 판단조차 이들에게는 통하지 않는 모양이다.

신 의원은 또, 철거반대 농성에 참가했던 전국철거민연합(전철련)을 ‘반대한민국 단체’라며, 이번 사건은 “치밀한 계획에 의해 자행된 도심 테러”라고 주장했다. 이은재 의원과 김태원 의원도 “도심 테러”라고 말했다. 이들이 농성 과정에서 화염병을 사용하는 등 과격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단체로 딱지 붙이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공안기관조차도 그렇게까지는 않는다. 또, 농성자들은 세들어 있던 건물을 방패 삼아 용역깡패의 공격이나 경찰 투입이 있을 때만 ‘방어적’으로 화염병 등을 던졌을 뿐이다. 용산 참사의 경우 테러라는 말 자체가 어불성설이며, 경찰의 무모한 진압을 호도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농성자나 전철련 회원들도 모두 이 나라 국민이다. 국민의 대표라는 사람들이 국민을 마치 적처럼 대해서야 하겠는가.

이들 몇몇 초선 의원만 물정 모른 채 좌충우돌하는 게 아니다. 한나라당 지도부도 마찬가지다. 공성진 최고위원은 어제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은 (행안위에서) 다시 이런 상황이 있어도 공권력을 투입하겠다고 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경찰의 과잉 행동에 제동을 걸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기는커녕 오히려 부추기고 있는 셈이다. 박희태 대표도 줄곧 이런 태도를 보였다. 이런 분위기 탓에 책임자 문책을 주장한 홍준표 원내대표는 아예 내부에서 따돌림을 당하고 있다고 한다.

한나라당은 지난 총선에서 국민에게 많은 지지를 받은 의미를 되새겨야 한다. 대통령과 정부의 밀어붙이기에 아부하기에만 급급한 여당의 모습은 스스로 존재 이유를 부정하는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