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2.02 13:22 수정 : 2009.02.02 13:22

2008학년도 수시 2-2 일반전형에서 고려대가 고교 등급제를 적용했다는 의혹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실이 조사해 밝힌 자료는 내신 90%에 비교과 영역 10%를 반영해 내신 우수자를 뽑는다고 고지됐던 일반전형에서 인천외고의 내신 8등급 학생이 1차에 합격했음을 확인했다. 또 전교생이 443명인 대원외고에서는 212명이 지원해 190명이 합격했고, 320명이 지원한 정원 429명의 대일외고에선 189명이 1차 관문을 통과했다. 일반고 내신 1~2등급은 떨어져도 외고에선 5~6등급은 물론, 7~8등급까지 합격한 꼴이다.

이런 결과에 대해 고려대는 공정하게 사정했다고 항변하나 그 말을 곧이곧대로 믿을 사람은 없다. 이미 지난해 10월 전형 결과가 발표된 후 교사나 학부모들로부터 고려대 쪽에 고교 등급제 적용 의혹에 대한 해명 요구가 이어져, 현정부 들어 입시를 관장하게 된 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조사에 나선 바 있다.

내신으로 뽑는다고 공표하고, 사실상 특목고에 대한 특별전형을 실시한 고려대의 행위는 교육기관의 본분을 망각한 행위다. 무엇보다 교육의 기초가 돼야 할 신뢰를 저버렸다. 시험성적이 조금 나은 학생들을 뽑는다는 얄팍한 이득을 챙기느라 대사회적 기만행위도 마다지 않는 이런 학교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배울지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교협이 마땅한 제재수단이 없다는 둥, 설득력 없는 이유로 이 문제에 손을 놓고 있는 점은 더 한심한 일이다. 대교협은 한술 더 떠 고교 등급제를 포함한 3불정책 폐지에 앞장서기까지 한다. 지난 연말에는 대교협 사무총장이란 이가 “고교 등급제와 본고사 금지를 폐지하는 것은 자율적으로 맡겨도 사회가 혼란스럽지 않은 것 아니냐는 합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러나 어디에도 그런 사회적 합의는 없다. 고교 등급제는 자신이 아닌 선배들의 성적에 근거해 평가를 받는 것이다. 지역간 학교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도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학생들을 그들이 속한 학교에 따라 차별하겠다는 것은 공평하지도 합당하지도 않다. 그러므로 대교협은 이제라도 고려대에 대해 엄중한 조처를 내려야 한다. 그러지 못하겠다면 자율적으로 입시를 주관할 능력이 없음을 자인하고 입시에서 손을 떼야 한다. 제 책무는 다하지 못하면서 자율만 요구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