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9.03.19 22:28
수정 : 2009.03.19 22:28
사설
두만강 근처에서 취재활동을 하던 미국 언론인 두 명이 지난 17일 북한 쪽에 억류됐다고 한다. 쉽게 일어나지 않는 돌발사태다. 경위가 어떻든 이들이 아무런 피해 없이 풀려나도록 하는 게 급선무다.
지금 북-미 관계가 나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양쪽이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는 건 사실이다. 우선 북한이 다음달 초로 잡은 인공위성 발사와 관련해 미국은 유엔 차원의 제재 추진 방침을 밝혀왔다. 실제 제재가 이뤄지면 두 나라 관계는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급랭할 가능성이 있다. 북한이 엊그제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을 전격적으로 거부한 것도 인공위성 발사 이후 제재를 예상하고 선제조처를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이 식량지원 중단을 제재 카드로 쓸 수 없게 한 것이다. 북한은 최근 한국에 대해서도 개성공단 통행 일시차단이라는 강수를 썼다. 이런 상황에서 억류 언론인 신상에 문제가 생긴다면 북-미 관계는 돌파구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나빠질 수 있다.
물론 상황이 비관적이지는 않다. 미국은 북한이 인공위성을 쏘더라도 6자 회담 재개 노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공언한 고위급 대북 직접 협상도 추진되는 중이다. 북한 또한 미국 새 행정부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 지금으로선 인공위성 발사 문제 말고는 북한과 미국 모두 일부러 사태를 악화시킬 이유가 없는 구도다.
중요한 건 양쪽의 대화 의지다. 미국의 대북 정책 재검토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더라도 북-미 대화는 이뤄져야 한다. 이번 언론인 억류 사태는 오히려 좋은 기회다. 1996년 한국계 미국인이 밀입북하는 일이 생겼을 때 미국은 빌 리처드슨 당시 하원의원을 특사로 보내 문제를 풀고 관계 개선 물꼬를 튼 바 있다. 이번 일도 의지만 확실하면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최근 북한과 관련해 좋지 않은 뉴스가 이어지고 있다. 6자 회담 참가국들은 이를 새 틀 짜기로 가는 과도기적 현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개별 사태에 대한 즉자적 대응에만 매달리다가 큰 흐름을 놓치는 일은 없어야 한다. 6자 회담을 통한 평화적 핵·미사일 문제 해결이라는 큰 원칙은 달라질 수가 없다. 관련국 모두 균형 감각을 갖고 멀리 내다보면서 차분하고 치밀하게 현안에 대처하는 지혜가 요구되는 때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