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4.03 19:46 수정 : 2009.04.03 19:46

사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그제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런던 정상회담이 끝난 뒤 내용을 상세히 브리핑했다. 백악관 쪽도 보도자료를 내고 회담 내용을 설명했다. 그런데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에 대한 대응과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관련한 핵심 대목에서, 청와대 발표에는 있으나 백악관 쪽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대목이 눈에 띈다.

이 대변인은 위성 발사 대응과 관련해 “특히 오바마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의 제재 결의안을 준비중에 있다고 말했다”고 했다. 하지만 백악관 쪽 자료 어디에도 ‘제재 결의안’이라는 용어는 나오지 않는다.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 일본과의 정상회담에서도 “안보리에서 협의한다”는 이상의 말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김은혜 청와대 부대변인은 “미국은 브리핑을 하지 않은 것이고 우리는 한 것”이라고 해명했으나, 오바마 대통령이 그렇게 분명하게 말했다면 백악관이 공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

또 이 대변인은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관련해, 오바마 대통령이 “협정을 진전시키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으며, “6월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했다. 하지만 백악관은 “오바마 대통령은 협정을 진전시키는 데 양쪽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진전이 이뤄지길 바라며 우리 직원들이 이를 어떻게 진전시킬지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일정에 관한 논의는 없었으며, 단지 시간이 걸릴 것임을 인정했다”고 했다. 미국의 기존 방침이 바뀌었다고 볼 수 없는 설명이다.

회담 내용을 각자 전하다 보면 강조점이나 뉘앙스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번처럼 핵심 내용이 다른 것은 매우 심각한 일이다. 실수라고 해도 문제이지만 국내 여론을 의식해 내용을 의도적으로 왜곡했다면 더욱 용납할 수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