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4.07 22:55 수정 : 2009.04.07 22:55

사설

어제 쉰세 번째 맞은 신문의 날, 국회 정론관에서 민주당 일부 국회의원과 언론 관계자들이 신문산업 위기 타개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현재 신문산업의 위기는 개별 신문사의 경영혁신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울 정도가 됐다며 정부와 정치권이 신문산업 육성을 위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문산업 종사자로서 신문의 사회적 소임을 되새겨야 할 날에 이런 호소를 듣는 기분은 썩 편치 않다. 신문산업이 처한 위기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문산업의 위기는 세계적이다. 언론을 제4부라 이를 정도로 중시해온 미국에서도 <시카고 트리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등 유력 지역언론들이 파산 상태이고 101년 된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는 최근 인쇄판을 중지했다. 가까운 장래에 주요 도시에 신문이 하나도 없는 시대가 올 수 있다는 경고가 현실성 있게 다가오는 실정이다. 프랑스 <르몽드> 등 세계 주요 언론들도 독자와 광고수입 감소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우리 상황도 다르지 않다. 신문은 온·오프 뉴스 콘텐츠의 70%를 생산하지만, 구독률은 1996년 69.3%에서 2008년 36.8%로 반토막이 났다. 신문업계 전체가 무너질 지경이라는 최문순 의원의 주장은 과장이 아니다.

위기의 일차적 원인은 물론 현재의 경제위기와 인터넷 등 새로운 매체의 등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신문의 경우, 이에 못잖은 내부 원인이 있다. 바로 신뢰성의 위기다. 언론재단이 지난해 실시한 언론 수용자 의식 조사에서 신문을 신뢰한다고 답한 비율은 16.0%에 그쳤다. 방송(60.7%)은 물론 인터넷(20.0%)보다도 낮았다. 이는 과거 일제에 순응하고 군부독재와 결탁했던 대부분의 주요 신문들이 아직도 공적 기능을 제대로 회복하지 못했다는 독자들의 비판이나 다름없다. 그런데도 방송법 등 언론관계법 관련 보도나 장자연 사건 연루자로 지목된 사주 비호 등에서 보듯, 이들 신문의 사익 추구 관행은 여전하다.

신문이 현재의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정부 지원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지원도 신문산업 안팎에서 ‘신문은 폭넓은 사회적 이익을 대변하는 공공재’라는 개념이 확고하게 뿌리내리지 않으면 그 뜻이 반감된다. 신문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신뢰의 위기부터 극복해야 하는 이유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