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4.14 22:05 수정 : 2009.04.14 22:05

사설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이 노무현 전 대통령 쪽에 줬다는 돈의 성격 등을 놓고 검찰과 노 전 대통령 쪽의 논란이 거세다. 노 전 대통령 쪽은 빌린 돈이나 투자금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검찰은 대가성 있는 뇌물로 보는 듯하다. 노 전 대통령이 이를 언제 알았는지에 대해서도 양쪽 주장이 엇갈린다. 실체적 진실은 법정에서 가려지겠지만, 지켜보는 국민으로선 어지럽기 짝이 없다.

돈의 흐름은 어느 정도 드러나 있다. 노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씨가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을 통해 100만달러를 받는 등 모두 13억원가량을 받았고, 조카사위 연철호씨는 아들 노건호씨와 함께 박 회장을 만난 뒤 500만달러를 받았다고 한다. 아무런 대가 없이 주고받기에는 큰돈이다. 노 전 대통령이 없다면 그런 거액을 줬겠느냐고 의심하는 게 당연하다. 노 전 대통령 쪽은 이런 합리적인 의심에 답해야 할 일차적 책임이 있다.

그런데도 노 전 대통령 쪽은 모호한 말로 이를 회피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은 누리집에 잇따라 올린 글에서 권씨가 돈을 받은 사실을 ‘몰랐다’는 말 말고는 왜 받았는지, 어디에 썼는지 등은 밝히지 않았다. 권씨도 검찰 조사에서 돈의 사용처에 대해서는 함구했다고 한다. 나중의 법적 다툼에 대비하려는 방어권 행사일 수 있지만, 지금 국민이 이해하긴 어렵다.

박 회장이 선의의 도움만 주는 ‘패밀리의 일원’인 양 내세우는 것도 상식에 맞지 않는다. 박 회장은 이익을 좇기 마련인 기업인이다. 그가 거액의 대가로 어떤 이권과 특혜를 누렸는지 묻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잖아도 박 회장은 노 전 대통령 재임 기간에 여러 분야에 걸쳐 사업을 확장했다고 한다. 그런 일에 노 전 대통령의 관여가 있었다면 대가 관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재임 때는 돈 받은 사실을 몰랐다며 법률적 책임이 없음을 주장하는 것과는 별도로, 노 전 대통령이 마땅히 국민 앞에 해명해야 할 대목이다.

검찰 수사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검찰이 박 회장 진술 말고 다른 확실한 증거나 객관적 정황을 확보하고 있다면 지금 같은 논란은 불필요할 것이다. 이는 괜한 ‘언론 플레이’라는 오해를 자초하는 일이다. 노 전 대통령 쪽 주장대로 박 회장의 궁박한 처지를 이용해 증언을 확보한 데 불과하다면 나중에 더한 낭패를 보게 된다. 다시 한번 검찰의 엄정하고 절제 있는 수사를 촉구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