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4.23 21:43 수정 : 2009.04.23 21:43

사설

현 정권 핵심 실세들이 포스코 회장 교체 과정에 깊숙이 관여했다는 민주당 우제창 의원의 의혹 제기는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된다. 첫째는, 현 정권이 공기업뿐 아니라 민간기업의 인사에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는 세간의 이야기가 결코 뜬소문만은 아님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둘째는, 그동안 이런 종류의 잡음에서 ‘단골손님’으로 등장해온 박영준·천신일 두 사람의 이름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나온 점이다.

권력이 순수 민간기업의 최고경영자를 제멋대로 바꾼 게 사실로 확인된다면 그 파장은 엄청날 수밖에 없다. 겉으로는 ‘시장 자율’과 ‘정부 불개입’을 외쳐온 권력의 위선과 가식도 백일하에 드러나게 된다. 당사자들의 변명성 해명만 듣고 어물쩍 넘겨버릴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전·현직 포스코 회장 등 당사자들은 물론 당시 사외이사들도 ‘역사’를 기록하는 심정으로 가감 없이 진실을 증언해야 한다.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이 인사에 광범위하게 개입한다는 이야기는 오래전부터 파다했다. 심지어 ‘모든 인사는 박영준을 통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온다. 정권 핵심 인사들 사이에서조차 그를 두고 “통제받지 않는 권력”이라는 비판을 할 정도다. 그가 ‘사장’으로 누구를 앉혔고, ‘부사장’으로 누구의 인사 청탁을 했네 하는 증언이 구체적인 회사 이름까지 곁들여져 심심찮게 들려온다. 이런 말들이 한낱 헛소문이나 모함에 불과할까?

‘왕의 친구’인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의 경우 ‘안 끼는 데가 없는’ 인물임이 또다시 증명됐다. 아무런 정부 직책도 없는 그가 포스코 회장 인선에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다는 것 자체가 코미디다. 오죽했으면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마저 “분수 없이 개입하면 안 된다”고 일침을 놓았겠는가. 그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검찰은 더는 수사를 미적거려서는 안 된다.

더 큰 문제는 권력이 인사에 손을 뻗친 민간기업이 포스코 한 곳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공기업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자 민간 회사에까지 눈을 돌려 자기 사람 앉히기에 혈안이 되면서 곳곳에서 잡음이 들려온다. 공기업의 협력업체, 정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민간회사 등 상당수가 권력의 압력성 인사 청탁에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고 한다. 아무리 10년을 굶었다고는 하지만 해도 너무하는 것 아닌가.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