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5.05 21:27 수정 : 2009.05.05 21:27

사설

한나라당 개혁 성향의 초선 모임인 민본21이 당·정·청 전면쇄신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관심의 눈길은 청와대로 향하고 있다. 국정기조 쇄신, 인적 개편, 당 화합 등 이들이 내놓은 3대 개혁과제는 사실상 이명박 대통령을 겨냥한 것이며, 성사의 열쇠도 이 대통령이 쥐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로 예정된 이 대통령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의 회동 결과가 주목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번 민본21의 움직임은 새 정권 출범 이후 집권여당 안에서 처음 분출된 본격적이고 집단적인 문제제기라는 점에서 그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아 보인다. 애초 중도실용을 표방하고 출범한 현 정부가 국정운영에서 내용적으로는 편향과 독선, 방법상으로는 강압과 독주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뼈아픈 반성이 그 안에는 깃들어 있다. 지난 4·29 재보선의 참패는 국정운영의 독선과 독주에 민심이 등을 돌린 결과라는 이들의 현실 진단은 정확하다. 민본21이 애초 실명까지 거론하며 청와대와 내각의 ‘문제 있는’ 참모·각료들의 교체를 요구하려고 한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민본21의 이런 움직임에 대해 청와대는 공개적인 반응을 자제하고 있지만, 대체적인 기류는 부정적으로 읽힌다. “쇄신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당이 살아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호의적 언급도 나오지만, 국정기조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라는 요구엔 냉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장파들의 요구사항을 선거 패배 이후 한 번쯤 나오게 돼 있는 ‘단골 레퍼토리’ 내지는 정치적 통과의례 정도로 여긴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매우 실망스러운 태도다. 4·29 재보선 참패의 진정한 원인과 의미에 대한 이 대통령의 상황인식이 아직도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면 집권여당의 불행을 넘어서 나라의 불행이다.

우리는 지난 정치 역사의 고비고비마다 이런 종류의 당내 정풍운동을 여러차례 목격한 바 있다. 그때마다 최고권력자의 반응과 대처방식도 제각각이었다. 하지만 공통점은, 이런 핑계 저런 이유를 대며 변화 요구를 외면했을 때의 결과는 하나같이 가혹했다는 점이다. 만약 이 대통령이 ‘지금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는데 무엇을 바꾸라는 말이냐’ ‘소장파의 주장에 섣불리 휩쓸렸다가는 죽도 밥도 안 된다’고 판단한다면 중대한 착각이다. 청와대는 과거의 교훈을 깊이 되새겨 볼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