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5.05 21:29 수정 : 2009.05.05 21:29

사설

한 달 전 경기도 안양 한 고등학교의 교사 4명이 교생실습을 나온 여자 대학생들을 성추행했다. 문제 교사들은 피해 교생들에게 강제로 술을 먹이고, 블루스를 추자고 종용했으며 심지어 신체 부위를 만지기까지 했다고 한다. 경기도교육청에서는 피해 교생들의 진정으로 이런 사실이 알려진 뒤 이들 교사에 대한 징계 절차를 밟고 있다고 한다.

성폭력이나 성희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교육 현장인 학교에서 이런 종류의 사건이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 현실을 바로잡기 위해서라도 교육청은 이들에 대한 징계를 엄정하게 해야 한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사표가 될 수 있도록 몸가짐을 바르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번 사건을 일으킨 이들은 시정잡배나 다름없이 행동했다. 더군다나 이들의 성추행 대상은 미래 세대를 가르치는 훌륭한 교육자가 될 꿈을 안고 첫 실습에 나섰던 예비교사들이다. 그들의 무분별한 행동으로 예비교사들의 꿈마저 짓밟아 버린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

추행 교사 가운데 이 학교 분회장을 포함해, 전교조 소속 교사가 3명이나 포함됐다는 사실도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조직원의 일탈 행위를 곧바로 전체 조직의 도덕성 논란으로 비화시키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전교조는 단순히 교사의 이익집단이 아니다. 20년 전 정부의 박해를 무릅쓰고 전교조의 깃발을 들어 올린 선배 교사들은 민족·민주·인간화 교육 실천을 위한 참교육 운동을 전교조의 목표로 내걸었다. 조합원 개개인의 도덕성에 바탕을 두지 않은 참교육은 빈말일 뿐이다. 이번 사건을 일부 조합원의 일탈 행위로 치부할 수 없는 까닭이다.

전교조는 올해 초 조합원에 대한 민주노총 간부의 성폭행 사건을 조직 보호 차원에서 입막음하려다 호된 시련을 겪었다. 그런데 얼마 되지도 않아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은 전교조와 그 조합원들이 창립 정신을 잊고 있다는 말이나 다름없다. 이 사회가 전교조에 요구하고 있는 교육 혁신 대신 교사 집단의 이익을 옹호하는 조직으로 전락한 결과일 수 있다는 뜻이다.

전교조 경기지부가 이번 사건에 대한 무한책임을 밝힌 점은 그나마 다행이다. 전교조가 국민의 사랑을 받는 조직으로 거듭나려면 이런 책임의식을 갖고 오는 28일 출범 20년을 앞두고 터져나온 악재들을 지난 역사의 잘못을 철저하게 반성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