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5.10 21:38 수정 : 2009.05.10 21:38

사설

정부가 녹색성장을 화두로 대대적인 자전거 타기 활성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4대강 사업과 함께 2020년까지 전국에 3000㎞의 자전거도로를 만들기로 한 데 이어 자전거 생산을 5년 안에 세계 3위로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대통령이 나서니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심지어 민간 기업들까지 자전거 붐 조성에 뛰어들고 있다.

환경보호와 교통난 해소를 위해 자전거 타기를 활성화하자는 데 반대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최근의 자전거 붐 조성이 구호만 앞서는 전시성 행사로 가고 있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 이명박 대통령은 “자전거를 타고 전국 방방곡곡을 가게 하겠다”고 말했지만, 이는 현실성이 없는 얘기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시원한 자전거도로를 뚫어놓으면 보기야 좋겠지만 실제로 이용할 사람이 하루 몇 명이나 되겠는가.

자전거 이용을 늘리는 일이 일회성 캠페인으로 성공할 수는 없다. 오랜 세월에 걸친 꾸준한 인프라 구축과 노하우 축적이 있어야 한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도심 전용도로 건설과 이용자 안전 확보다. 최근 나온 서울시 자전거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2006년 266명이던 부상자가 지난해 807명으로 급증했다. 자전거 천국을 만들겠다던 경남 창원에서는 지난달 자전거로 출근하던 한 남성이 차량에 치여 뇌사상태에 빠졌다.

전용도로가 절대 부족한데다 이미 만들어진 전용도로도 일반 도로에 선만 그어 놓았거나 중간에 끊어지는 경우가 많아 제구실을 못한다. 골목길에선 자동차, 사람, 자전거가 얽혀 언제 어디서 교통사고가 날지 알 수 없는 형편이다. 대중교통 연계 시스템도 전혀 갖춰져 있지 않다. 서울 송파구가 지난해부터 ‘양심자전거’로 불리는 무인대여 시스템을 운용중이지만 비용 때문에 이를 확산시키지 못하고 있다.

자전거는 레저수단이기 전에 도시 교통체계의 말단을 구성하는 근거리 교통수단이다. 4대강 주변이나, 민통선 같은 한적한 곳이 아니라 동네에서 지하철·버스와 연계해 손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자전거 타기 활성화 운동이 전시행정으로 그치지 않으려면 4대강 자전거도로같이 겉모양만 그럴듯한 비현실적 목표부터 버려야 한다. 그보다는 주민생활에 긴요한 도심 전용도로 건설과 대중교통 연계 시스템 구축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