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5.22 21:47 수정 : 2009.05.22 21:47

사설

쌍용자동차 노조가 회사 쪽의 대규모 정리해고 방침에 맞서 엊그제 전면파업에 들어갔다. 세계 경제위기로 심각한 경영난에 빠진 쌍용차로서는 특단의 대책이 불가피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모든 고통을 노동자들에게 떠넘기는 대량 해고는 해법이 될 수 없다. 노사뿐 아니라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 고통 분담을 전제로 한 회생 방안 마련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쌍용차 사태는 개별 기업의 노사 문제를 넘어서는 사안이다.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대주주이긴 하지만 국내 자동차산업의 비중이나 지역 경제에 끼치는 영향 등을 고려할 때 정부가 뒷짐 지고 있을 일이 아니다. 모든 것을 채권단과 대주주에 맡겨놓고 있다가 사태가 막바지에 이른 뒤 수습하려다간 더 큰 사회·경제적 비용을 치르게 된다. 특히, 대대주인 상하이자동차가 쌍용차 회생에 적극적 구실을 하도록 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다.

회사 쪽도 노조와 진솔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노조는 신차 연구개발비 1000억원을 책임지고 고용안정기금 12억원을 내놓겠다고 하는 등 다양한 경영 정상화 방안을 회사 쪽에 제안했다. 하지만 사쪽은 제대로 된 교섭을 계속 회피해 왔다고 한다.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해서일지 모르지만 노조와의 대화 자체를 거부해선 안 된다. 어려운 때일수록 노조의 협조 없이는 회사 회생이 불가능하다.

대화가 막힌 상태에서 ‘옥쇄 파업’을 할 수밖에 없는 노조 처지는 이해하지만, 파국으로 가는 상황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생산직의 절반에 가까운 2400여명을 정리해고하겠다는 건 분명 잘못됐지만 인력 조정 없인 난국 돌파가 어렵다는 것도 현실이다. 쌍용차의 청산가치보다 존속가치가 높다는 분석도 구조조정과 신규 자금지원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노동시간 단축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정리해고 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회사 쪽과 협의해 나가는 유연한 자세를 계속 견지할 필요가 있다.

경제위기로 세계 자동차업계는 지금 치열한 생존 게임을 하고 있다. 경쟁력이 없어지는 순간 다른 업체에 먹히거나 사라진다. 쌍용차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노동자 쪽에 모든 희생을 강요하는 방식으로는 생존할 수 없다. 노사정 모두 한발씩 양보해 고통을 분담하면서 살아남을 수 있는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 당장 대화부터 시작하라.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