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5.22 21:50 수정 : 2009.05.22 21:50

사설

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 절대빈곤층의 아동·청소년이 전체의 7.8%에 이르며, 월소득 150만원(최저생계비의 120%) 미만인 상대빈곤층까지 합하면 18살 이하 아동·청소년의 11.5%가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는 정부 차원의 첫 종합실태조사 결과가 그제 나왔다.

부모의 소득이 낮을 경우 아동이나 청소년의 생활 형편이 나쁜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아동 빈곤은 그 자체에 그치지 않고 교육·주거·건강 등 모든 성장 환경을 악화시킨다. 또 정서적·신체적 장애와 청소년 범죄 등 많은 사회문제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가난한 부모 탓으로 돌리고 방관할 문제가 아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절대빈곤층 아동·청소년의 52.7%가 한부모 가정에서 살고 있으며, 6.6%는 지하방이나 옥탑방 등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 일반 아동·청소년의 한부모 비율이 15%, 지하방이나 옥탑방 생활 비율이 2.7%에 그치는 점에 미뤄 그 차이가 심각하다. 방과후에 주 3일 이상 혼자 지내는 비율도 18.3%에 이른다.

8살 이하 아동의 인지·언어·학업성취도 차이도 심각하다. 기억력(55점 기준)은 절대빈곤층 4.78점, 일반층(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20% 이상) 11.74점이었으며, 표현어휘(135점 기준)는 절대빈곤층 44.66점, 일반층 109.3점이었고, 수리적 사고력(6점 기준)은 절대빈곤층 2.76점, 일반층 4.57점이었다. 빈곤층 아동·청소년이 정상적인 부모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어렸을 때부터 인지·언어·학습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소득이 낮으니 사교육비의 차이도 클 수밖에 없다. 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이미 계층간 우열이 갈리는 셈이다.

열악한 환경에서 자란 아동·청소년이 빈곤층을 벗어나기는 쉽지 않다. 유일한 방법은 교육을 통한 탈출이다. 하지만 월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짜리 사교육을 받는 다른 학생들과 경쟁해야 하는 현실에서 사실상 어려운 얘기다. 가난의 대물림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아동·청소년에 대한 투자는 아무리 많아도 지나치지 않다. 이들이 빗나가지 않고 정상적으로 자라나게 할 책임은 우리 사회에 있다.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공평한 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