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6.04 19:04 수정 : 2009.06.04 19:04

쌍용차가 정리해고 효력 발생일인 오는 8일 경찰력 투입을 요청할 방침이다. 이 경우 현재 평택공장에서 파업을 벌이고 있는 노동자들과 정면충돌을 피할 수 없다.

파산 위기에 몰린 쌍용차에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다만 구조조정은 경영진, 노동자, 채권단, 협력업체들이 함께 고통을 분담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 인력 감축, 자산 매각, 기존 지분 감자, 차입금 출자전환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런 과정들이 대부분 무시되고 인력 감축만 부각된 채 노사 양쪽의 양보 없는 대결로 치닫고 있다. 대립이 격화하면서 정치적 대결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이런 식으로는 쌍용차 문제를 풀 수 없다.

경영진이 목표로 하는 인력 구조조정 규모 2600여명 가운데 1500여명은 이미 희망퇴직을 신청한 상태다. 초점은 나머지 1000여명에 대한 인력 감축이다. 채권단의 신규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 신속한 인력 감축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다른 구조조정은 뒤로 미룬 채 인력 감축만 밀어붙인다면 노조 쪽을 설득할 수 없다. 생계 위기에 몰린 노동자들이 저항하고 나설 것은 분명하다.

인력 감축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고 경찰력을 동원하기보다는 자산 매각, 감자 등의 계획을 추진하면서 시간을 두고 노조를 설득하는 작업에 나서야 한다. 인력 감축이 시급하다면 무급 순환휴직 등의 방식으로 대신한 뒤 추가 희망퇴직을 유도하는 등의 현실적인 방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노조 역시 회사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파업을 푸는 것이 좋다.

지금 상태에서 양쪽이 정면충돌하면 대규모 인명 피해가 날 가능성이 있다. 잘못하면 제2의 용산사태를 부를 수도 있다. 지금이라도 양쪽이 조금씩 양보해 합리적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든 파국은 막아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