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6.05 21:57 수정 : 2009.06.05 21:57

사설

어제 시민·사회단체들과 야당이 공동으로 현 시국과 관련한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했다. 국정기조의 총체적인 전환을 촉구한 이 선언에는 민생민주국민회의 준비위원회 등 범시민단체들과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창조한국당 등 야4당이 참가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정국이 요동치는 상황에서 시민·사회단체와 야당들이 공동보조를 취하고 나선 것은 예사롭지 않다. 이들은 오는 10일 서울광장에서 6월 민주항쟁 계승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범국민대회를 열 예정이다.

6월항쟁 기념일을 앞두고 이 땅에 다시 긴장이 고조되는 현실은 비극이다. 그날은 22년 전을 함께 되돌아보며 감격과 환희를 공유하는 축제의 자리여야 한다. 그때의 열정과 헌신을 되살려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는 자리여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정반대다. 지금 전국 곳곳에는 민주주의 회복과 권위주의 타파를 외치는 함성이 가득하다. 1987년 봄 전국 대학에 들불처럼 번졌던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세월을 뛰어넘어 다시 각 대학에서 잇따르고 있다. 윗세대들의 민주화운동 경험담이나 듣고 있어야 할 젊은 세대들이 강압통치 종식과 표현의 자유 보장을 외치다 경찰에 연행되고 있다. 흡사 타임머신을 타고 다시 22년 전으로 돌아간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다.

이날 발표된 범야권 대국민 호소문의 내용은 최근 봇물처럼 터져나오는 시국선언문들과 현실인식과 해법에서 똑같다. 일방통행식 강압통치에서 벗어나 국민과 소통하고, 국정운영 전반의 기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라는 요구다. 이는 야권뿐 아니라 한나라당 안에서도 나오는 지적이다. 심지어 이규택 친박연대 대표는 “현재의 상황이 87년 6월항쟁 때보다 심각하다”며 “당시의 직선제 수용 같은 그런 엄청난 쇄신이 없는 한 민심을 수습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진단도 내놓았다.

청와대는 언제까지 이런 요구에 귀를 막고 있을 것인지 답답하다. 시민·사회단체와 야당의 움직임을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불순한 기도’쯤으로 몰아붙이면 된다고 생각하는가. 경찰력을 앞세워 국민대회 장소나 원천봉쇄하고 시일이 흐르기만 기다리면 난국을 모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누구의 눈에도 훤히 비치는 불행의 길을 부득부득 고집하는 모습이 참으로 안쓰럽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