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사람·생명·평화의 길 일깨운 오체투지 |
그제 오후, 임진각 망배단에서는 오체투지 순례단 회향식이 열렸다. 지난해 9월4일 지리산 노고단에서 출발한 순례단이 계룡산과 서울을 지나 철조망으로 가로막혀 더는 북쪽으로 갈 수 없는 임진각에 도착한 것이다. 124일 동안 수경 스님과 문규현·전종훈 신부를 비롯한 순례단은 한없이 몸을 낮추며 400여㎞를 벌레처럼 기어서 왔다. 땡볕에 달구어진 뜨거운 아스팔트를 온몸으로 껴안고, 몸속까지 파고드는 차가운 빗줄기를 맞으며 순례단은 무엇을 위해 그 험난한 길을 기어 왔던가.
그들이 오체투지 순례를 시작한 것은 이 나라가 국가적 재난과 위기상황에 처해 있다는 인식에서였다. 우리 선조는 위기 때마다 백성의 마음과 역량을 하나로 통합해 국가적 재난을 극복하기 위해 하악단(지리산 노고단), 중악단(계룡산 신원사), 상악단(묘향산 보현사)에서 천제를 지냈다고 한다. 순례단도 오체투지로 한반도를 기어가면서 하악단, 중악단에 올라 사람·생명·평화의 길을 기원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순례단이 기원했던 길과는 점점 더 멀어지고 있다. 이명박 정부는 일방적인 국정운용으로 국민과의 소통을 거부하고, ‘용산 참사’에서 보듯 살겠다고 몸부림치던 생명을 짓밟고, 남북관계를 전쟁 직전의 위기상황으로 내몰고 있다. 급기야는 전직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오체투지를 시작했을 당시보다 국가 위기상황은 훨씬 심각해진 것이다.
그럴수록 오체투지 순례단이 내걸었던 사람·생명·평화의 길은 더욱 절실해진다. 순례단은 사회 갈등과 모순에 대해 자신부터 몸을 낮춰 참회하고 성찰하길 권유한다. 살아있는 생명을 존중하고, 권력자와 국민, 가진자와 서민, 남과 북이 서로 대립과 투쟁에서 벗어나 공존공생하는 평화의 길을 모색하기를 기원한다. 그들 자신이 천릿길을 벌레처럼 기어 오면서 이를 몸으로 보여줬다.
이제 오체투지 순례단이 남긴 과제에 답을 해야 할 때다. 우선 이명박 정부는 국민과의 소통을 재개하고, 한반도 긴장을 완화해 남북관계를 평화의 길로 이끌어야 한다. 우리 삶의 터전을 파괴하는 ‘4대강 정비사업’을 당장 포기하고, 민주주의를 후퇴시키는 행위들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의 가슴속에 사람·평화·생명의 길을 내는 일이다. 사람의 마음이 바뀌어야 생명이 존중받는 평화세상이 오기 때문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