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6.11 21:58 수정 : 2009.06.11 21:58

6월 민주항쟁 22돌을 맞아 엊그제 서울·부산·광주 등 전국 곳곳에서 열린 범국민대회는 정부·여당의 우려와 달리 비교적 평화롭게 끝났다. 집회 막바지에 일부 시민들과 경찰의 충돌도 없지 않았으나, 지엽적이고 우발적인 것이었다. 대회 참가자들이 마지막까지 ‘질서’를 외치며 집회를 평화롭게 이끈 모습은, 당국이 집회 불허 사유로 내건 ‘폭력시위로 번질 가능성’이 얼마나 근거 없는 것인지를 잘 보여줬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 마음 졸여 왔던 청와대와 한나라당은 일단 한고비를 넘겼다고 안도하는 눈치다. 유감스럽게도 광장을 가득 채운 시민들이 한목소리로 외친 ‘민주주의 회복’ 함성에는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는 모습이다. 오히려 “모인 숫자가 별로 되지도 않더라” “좌파들의 똑같은 주장”이라는 비아냥만 내놓는다. 여권이 강조하는 ‘말없는 다수의 시민’은 현 정부 아래서 민주주의가 꽃처럼 피어나고 인권이 강물처럼 흐른다고 믿고 있다는 투다.

그러나 떨어지는 오동나무 잎 하나에도 계절 변화의 징조가 담겨 있듯, 최근 잇따르는 시국선언이나 범국민대회는 민심의 거대한 흐름을 반영하는 하나의 징표다. 더욱이 이번 범국민대회는 그동안 흩어져 있던 민주개혁 세력들이 하나로 뭉치는 계기가 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49재가 열리는 다음달 10일까지 언론관계법 등 이른바 ‘엠비 악법’을 막기 위한 공동대응에도 나선다. 시민·사회단체와 야당의 연대와 공동행동에 가속도가 붙으면 정국 흐름은 더욱 가팔라질 수밖에 없다.

물론 시민·사회단체와 야당도 고민이 많을 것이다. 특히 제1야당인 민주당으로서는 국회를 마냥 외면하기에 어려운 형편이기도 하다. 당장 한나라당은 “정치 굿판을 접고 이제는 국회로 복귀하라”고 역공에 나섰다. 현실적으로도 국회에 들어가 정부의 잘잘못을 따지고 산적한 민생 현안에 팔을 걷어붙이는 게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얽힌 매듭을 먼저 풀어야 할 쪽은 청와대와 한나라당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 국정기조의 대변환 등 범국민대회에서 나온 ‘4대 요구안’에 대해 먼저 성의 있는 답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국정운영을 책임진 집단으로서 최소한의 예의이며, 야당을 국정운영의 동반자로 여기는 태도다. 먼 산 바라보며 딴청을 부린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공은 정부여당에 넘어가 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