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언소주’에 대한 폄훼와 협박을 중단하라 |
조선·중앙·동아일보(조중동)에 편중해 광고를 내는 특정 기업을 선정해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는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언소주)에 대해 이들 신문이 전방위적인 공격에 나섰다. 이들 신문은 사설과 기사를 통해 언소주의 김성균 대표를 비롯한 간부들을 좌파 운동가로 매도하고 이들이 벌이는 운동을 ‘조폭적 협박’이라고 비난하며 법에 의한 엄정한 처벌을 촉구하고 나섰다. 검찰은 조중동의 요구에 장단을 맞춰 언소주의 위법행위와 그로 인한 기업의 피해실태 등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신문이 언소주의 활동에 이토록 과민하게 대응하는 이유는 명백하다. 운동이 성과를 내서 자신들에게 피해가 돌아오기 전에 초기에 예봉을 꺾어버리자는 뜻일 터이다. 그러나 언론이라면 지켜야 할 최소한의 품격마저 저버린 채 운동단체에 폭언과 협박을 해대는 모습에 눈살을 찌푸리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사실관계도 확인하지 않은 채 <한겨레>와 <경향신문>을 언소주와 연결지으며 비난을 퍼붓는 행태엔 연민마저 느껴진다.
<동아일보>는 언소주의 활동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기반을 흔들고 법치를 비웃는 행패”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에는 표현의 자유가 있다. 대표적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미국의 법원은 언론사의 편집정책이나 보도의 정확성 등에 불만을 가진 소비자들이 해당 언론사에 광고하는 광고주를 상대로 벌이는 불매운동은 표현의 자유로서 폭넓게 보호돼야 한다고 판결했다. 게다가 자전거나 상품권으로 독자를 매수해 신문시장의 질서를 유린하는 조중동이 시장경제를 운위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언소주의 활동은 사익에 눈멀어 왜곡보도를 일삼으며 시장질서를 교란해온 언론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 의사 표현이다.
조중동은 언소주를 비난하기에 앞서 왜 자신들이 비판의 표적이 되고 있는지 자성하는 게 순리다. 언론 종사자들의 조선, 중앙, 동아에 대한 신뢰도가 4.0%, 3.7%, 2.0%라는 참담한 수준인데도 스스로 공정한 언론이라고 말한다면 후안무치하지 않은가.
노무현 전 대통령 등에 대한 표적수사로 비난의 대상이 됐던 검찰이 이런 언론들의 사주에 따라 또 언소주의 입에 재갈을 물리려 하고 있다. 그러나 무슨 이유를 들이댄다 해도 이런 행위는 검찰이 권력과 가진자의 시녀임을 또다시 확인하는 일이 될 것임을 알아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