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6.16 20:59 수정 : 2009.06.16 20:59

예멘에서 봉사활동을 하다가 납치된 엄영선(34)씨가 살해된 것으로 어제 공식 확인됐다. 열악한 환경에서 의미 있는 활동을 하던 중 억울하게 희생된 엄씨에게 조의를 표한다. 또한 무고한 민간인의 목숨을 앗아간 테러행위를 엄중히 규탄한다. 무장도 하지 않고 적대행위도 하지 않은 민간인을 테러 대상으로 삼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할 수 없는 반인도적 행위다.

올해 들어 예멘에서만 테러로 숨진 한국인이 5명이나 된다. 지난 3월 시밤 지역을 관광하던 한국인 관광객 4명이 폭탄테러로 숨진 데 이어 석달 만에 비슷한 일이 다시 일어났다. 엄씨는 이슬람 휴일인 지난 12일 함께 봉사활동을 하는 독일인 가족 등과 함께 근처로 산책하러 나갔다가 아직 정체가 규명되지 않은 테러단체에 납치됐다. 불가항력적인 상황에서 창졸간에 당한 참사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정부의 책임이 줄어드는 건 아니다. 나라 안팎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은 정부의 책무 가운데서도 가장 기본이다.

우선 정부는 예멘 당국과 협조해 엄씨를 살해한 테러단체를 하루빨리 규명하고, 희생자가 또 나오지 않도록 만반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이참에 위험지역에서 거주하거나 활동하고 있는 국민의 생명을 제대로 보호하고 있는지도 근본적으로 되돌아봐야 한다. 같은 나라에서 석달 만에 5명의 국민이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은 정부의 재외국민 보호 대책에 큰 구멍이 있음을 방증한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철수가 필요하면 철수를, 여행금지가 필요하면 여행금지 조처를 해서라도 더는 테러로 인한 인명피해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중동지역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한 테러행위가 왜 빈발하는지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04년 이라크에서 납치돼 살해된 김선일씨 사건이나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일어난 한국인 집단 피랍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 정부의 대미 추종적 중동정책은 현지에서 한국인에 대한 반감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현실적인 대중동 외교와 함께 상호 이해를 높이는 노력을 활발하게 펼쳐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일반 시민뿐 아니라 봉사단체들도 현지의 종교와 문화를 존중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중동에서 테러로 희생된 비중동인 가운데 상당수가 기독교 선교단체 회원이란 점은 시사하는 바가 적잖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