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6.22 20:07 수정 : 2009.06.22 20:07

정부·여당이 6월 국회에서 강행처리할 태세인 언론관련법 개정안에 대한 국민들의 반대가 재확인됐다.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가 한나라당 쪽 위원들의 여론조사 반대로 좌초된 뒤 야당 쪽 위원들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대다수(58.9%)는 법안의 표결처리에 반대했다. 찬성은 18%에 그쳤다.

법 개정이 여론 장악(63%)과 여론 독과점(58.1%), 언론자유 위협(55.6%), 민주주의 기반 약화(50.1%)를 가져올 우려가 있으므로 지상파 방송, 종합편성 채널, 뉴스전문 채널에 재벌과 신문사가 진출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3분의 2에 가까웠다. 언론관련법 개정안에 대해 잘 안다고 한 응답자일수록 반대의견이 높았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한나라당 지지층으로 여길 수 있는 보수 성향의 응답자들 가운데서도 미디어위의 의견수렴이 잘못됐으며 국회에서 표결처리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는 사실이다. 또 한나라당 쪽이 개정이 필요한 근거로 내세운 방송산업 경쟁력 강화, 새로운 일자리 창출, 여론 다양성 등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도 동의하는 비율을 훨씬 웃돌았다.

이런 조사 결과는 그동안 한나라당 쪽이 왜 그토록 여론조사에 반대했는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한나라당이 누구를 위한 정당인지 확인해준다. 한나라당의 안중에는 국민은 없고 재벌과 족벌언론만 있는 것이다. 한나라당이 법안 통과에 목을 매는 이유도 분명하다. 족벌언론 및 재벌에 방송을 넘겨줘 ‘권·산·언 복합체’를 완성함으로써 장기집권을 꾀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이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음은 그들의 속내를 정확히 읽어낸 여론조사 결과에서 확인된다. 한나라당이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일부 규정을 손대는 척하고 강행처리를 기도한다면 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 언론관련법 개정 시도를 당장 포기해야 마땅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