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6.23 19:36 수정 : 2009.06.23 19:36

정권이 〈문화방송〉(MBC) 죽이기에 팔을 걷고 나섰다. 최근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피디수첩 수사 결과와 관련해 문화방송 경영진에게 사죄와 사퇴를 요구한 데 이어, 한나라당의 친이명박계 의원들이 어제 사실상 이 방송 경영진의 사퇴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피디수첩이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사실을 왜곡·과장함으로써 사회적 혼란과 갈등을 일으켰다며, 제작진이 이에 대해 사과하고 제작 과정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제작 책임자와 최고경영자는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정치적 왜곡수사라고 비판받는 검찰의 피디수첩 수사를 근거로 이런 주장을 펴는 것은 어불성설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피디수첩 수사 결과는 검찰 내부에서조차 수사 대상이 되기 어렵다고 해서 접은 것을 무리하게 재개시켜 나온 것임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검찰은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제작 과정의 일부 실수를 의도적인 왜곡으로 몰고가기 위해 작가의 이메일을 짜깁기해 공개함으로써 스스로 수사의 정당성을 포기하고 심각한 인권침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백번 양보하더라도 최종 판결이 나기 전까지 무죄추정 원칙이 적용되는 것은 상식이다.

그럼에도 대통령 주변 인사들이 직접 나서 문화방송 경영진에 대한 총공세를 펴는 데는 이번 국회에서 어떻게든 언론관련법 개정안을 강행처리하려는 정권의 뜻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피디수첩 보도를 의도적 왜곡으로 몰고감으로써 여론 다양성을 위해 언론관련법의 개정과 문화방송 민영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뜻일 터이다.

이런 움직임은 오히려 언론관련법 개정 추진이 정권의 언론장악 의도에서 나왔음을 확인시켜줄 뿐이다. 정부 정책에 비판적인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제작진을 수사해 재판에 회부하고 이를 근거로 임기가 한참 남은 최고경영자를 몰아내겠다고 하는 것이니 말이다. 지난해 국세청·감사원·검찰·교육부 등 온갖 권력기관과 정부 부서를 동원해 정연주 전 <한국방송> 사장을 몰아냈으니 문화방송이라고 못할 게 없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는 착각이다. 언론관련법에 대한 여론조사에서도 확인됐듯이, 국민들은 이 정권의 언론장악 속셈을 잘 알고 이에 대한 반대 뜻을 분명히하고 있다. 그런데도 비판언론에 재갈을 물리려 한다면 국민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