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7.05 21:03 수정 : 2009.07.05 21:03

쌍용자동차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노조 파업이 한 달 반을 넘어선 가운데, 회사 쪽은 노조 간부들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는 등 한 치의 양보도 없이 대결 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러는 사이 시장에서는 쌍용차가 도산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데 대한 정부와 채권단의 책임을 다시 한번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와 채권단은 쌍용차가 법정관리 절차를 밟고 있기 때문에 개입할 여지가 없다고 발뺌한다. 하지만 쌍용차를 중국 상하이차에 팔아 지금 같은 사태를 초래한 그들이 쌍용차 운명을 법원에 맡겨놓고 나 몰라라 하는 것은 대단히 무책임하다. 그런 ‘원죄’가 아니더라도 국가 기간산업인 자동차산업의 장래를 책임지고 있는 정부가 쌍용차 사태에 손 놓고 있는 것은 사실상 정부이기를 포기하는 것이다.

회사 쪽은 노조를 자극하는 행위를 자제해야 한다. 지난달에는 노조에 새로운 제안을 내놓은 지 몇 시간도 안 돼 공장 장악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경비 용역’과 파업중인 노조원 사이에 충돌이 빚어져 감정의 골만 깊어졌다. 지난 주말에는 노조 간부들에 대해 50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고, 파업중인 해고 직원 가족들에게도 손해배상 협박을 하고 있다고 한다. 회사 쪽에서는 이렇게 몰아붙이면 노조가 파업을 풀 것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이런 압박을 통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단계는 이미 지났다.

노조도 자신들의 주장이 관철되지 않으면 한 발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자세에서 벗어나야 한다. 물론 노동자들에게 정리해고는 곧 생명줄이 끊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물러서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또 이미 1600여명이나 회사를 떠난 마당에 더 정리해고를 할 필요가 있느냐는 논란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회사의 현재 상황을 고려해 무급 휴직이나 재고용 보장 등 다양한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는 유연성을 보여야 한다.

쌍용차는 올해 초 상하이차가 철수한 뒤 반년 넘게 정상 경영을 못하고 있다. 그사이 많은 고객이 쌍용차를 떠났다고 한다. 고객 없는 회사는 존립할 수 없다. 더 늦기 전에 노사 양쪽이 일단 정리해고와 파업을 동시에 철회하고, 현실적인 구조조정 방안 등에 대한 대화에 나서기 바란다. 정부와 채권단이 그 중재자로 나서야 함은 물론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