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7.29 20:39 수정 : 2009.07.29 20:39

이명박 대통령이 며칠 전 주례 라디오방송에서 자신의 임기말쯤이면 상당수 대학이 정원의 100% 가까이를 입학사정관을 통해 선발하게 될 것이라고 말해 한바탕 소동이 일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차관이 사정관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 정도로 이해하라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지만, 학부모들 사이엔 입학사정관제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확대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학부모들의 우려는 당연하다. 지난해 전국 대학에서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한 인원은 4500여명에 불과하지만 올해엔 2만명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입학사정관 전형을 위한 인적·제도적 정비는 겨우 걸음마를 뗀 수준이다.

사정관 수만 해도 그렇다. 교과부가 이달 중순 발표한 ‘입학사정관제 계속·신규 지원대학 선정’ 보도자료를 보면, 47개 지원대학이 지난 6월 현재 확보한 사정관은 203명뿐이다. 올해 선발 예정 인원까지 포함해도 겨우 360명이다. 지난해 처음 시행된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평균 30~40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던 점을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치다. 이들이 높은 전문능력을 갖췄는지도 의문이다. 교과부는 올해 6월에야 ‘입학사정관 전문 양성·훈련 프로그램’을 개설할 대학을 선정한 상태다.

또한 사정관의 주관적 판단이 중시되는 전형은 그 기준이나 방법을 명확하게 해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데도 그런 기준이 제대로 눈에 띄지 않는다. 특히 학생들의 특성에 더해 가정환경, 교육여건, 출신 고등학교까지 고려하도록 돼 있는 점은 고교등급제의 근거가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온다. 특수목적고나 자사고 등이 유리하리란 전망이 나오는 까닭이다.

이러니 사교육의 본거지인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벌써부터 입학사정관제 컨설팅 전문업체들이 속속 문을 열고 있는 것이다.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까지 받으며 경력관리 요령을 가르치고 심층면접 대비 훈련까지 시킨다고 한다. 지나친 성적 위주 경쟁에서 탈피한다는 명목으로 도입된 사정관제가 새로운 사교육 수요만 창출해낸 꼴이다.

이런 정황을 고려할 때 시급한 것은 제도의 확대가 아니라 내실을 다지는 일이다. 타당한 기준과 원칙을 마련하고 사정관들의 윤리지침을 확립해 제도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하는 게 우선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