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8.02 18:53 수정 : 2009.08.02 18:54

지난 31일 이뤄진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 선임 결과는 한마디로 실망스럽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언론계 안팎의 우려에도 아랑곳없이 이사장 내정설로 논란이 됐던 김우룡 한양대 석좌교수를 비롯해 극우·보수 색깔로 비판을 받아온 인사들을 다수 문화방송의 최대 주주인 방문진 이사에 포진시켰다. 야당 쪽 추천으로 선임된 이사들 역시 위기에 처해 있는 엠비시를 제대로 지원할 수 있는 인물들인지 의심스럽긴 마찬가지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해할 수 없는 일은 이명박 정권 등장 이래 문화방송 비판을 주업으로 삼아온 공정언론시민연대(공언련)의 고문인 김우룡씨와 사무처장인 최홍재씨를 함께 이사로 선임한 것이다. 김 이사는 한나라당 추천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위원장으로서 미발위의 파행을 야기해 방송법 등 언론관련법의 날치기 통과에 길을 열어주었고 지난해 뉴라이트전국연합 주최 토론회에서 문화방송에 대한 구체적인 민영화 방안까지 제시했던 인물이다. 어떤 비난을 감수하더라도 문화방송을 장악해 민영화를 밀어붙이겠다는 정권의 뜻이 아니라면 이렇게까지 할 수는 없다.

김 이사는 벌써부터 이사장이 다 된 듯 “엠비시가 그사이에 상당히 신뢰도가 떨어졌다”며, 엠비시를 신뢰받는 정보·문화기관으로 변모시키겠다고 공언했다. 관례적으로 문화방송 사장이 추천권을 행사하던 엠비시 이사회 구성에 대해서도 “방문진의 고유 권한”이라며 적극 개입할 뜻을 분명히 했다. 또 최홍재씨 등 일부 이사들은 벌써부터 ‘피디수첩’ ‘뉴스데스크’ 등 특정 프로그램의 공정성을 문제 삼는 등 개별 프로그램에 개입할 뜻까지 시사했다. 그동안 관례로 인정돼온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투다.

그러나 방문진 이사들이 정권을 대신한 점령군처럼 행세하다간 강력한 국민적 저항에 부닥칠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국민의 절대다수가 반대하는데도 방송법 등 언론관련법을 밀어붙인 정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정권이 어떤 변명, 어떤 이유를 대더라도, 일련의 과정이 언론 장악 의도에서 나온 것임을 모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중차대한 시기에 방문진이 할 일은 엠비시가 공영방송으로 제 몫을 다하도록 돕는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