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8.13 20:27 수정 : 2009.08.13 20:27

오는 10월 재보궐선거의 후보 공천 문제를 놓고 한나라당에 잡음이 일고 있다. 논란의 주인공이 전·현직 당 대표이니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박희태 대표는 그제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 경남 양산 국회의원 재선거에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알았다는 반응만 보였다지만, 박 대표 쪽은 애써 격려 따위의 의미를 부여하려 했다. 그는 어제도 자신이 정권 창출에 기여했다고 강조하면서 출마 결심을 거듭 밝혔다. 자신을 전략공천 해달라고 떼를 쓰는 셈이다.

박 대표의 이런 행보는 보기 흉하다. 무엇보다 이는 당의 공식 절차를 아무렇지 않게 무시한 것이다. 한나라당의 당헌·당규는 공천심사위에서 서류심사와 면접 등을 통해 공직 후보를 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 지난 7월 당 쇄신특위가 마련해 최고위원회의 추인까지 받은 당 쇄신안은, 재보선 때도 총선처럼 상향식 공천을 원칙으로 하고 후보자간 토론을 하도록 했다. 박 대표는 당헌은 물론 스스로 추인한 쇄신안까지 무시하고 있는 셈이다.

대통령에게 공천 보장을 애걸하는 모양새는 더 꼴사납다. 대통령의 낙점으로 여당의 공천이 이뤄지는 것은 과거 권위주의 시대의 구태다. 한나라당도 아직까지는 대통령의 당무 관여를 공식적으로 배제하고 있는 터다. 대통령에게 기대는 듯한 박 대표의 행보는 정당정치를 한참 뒤로 퇴행시키는 일이다.

박근혜 전 대표가 대통령후보 경선 때 자신을 도운 인사의 강원도 강릉 재선거 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한 것도 온당해 보이진 않는다. 박 전 대표의 당내 영향력을 고려하면 이런 행동은, 절차를 무시한 채 자신의 측근을 공천해 달라는 사실상의 압력이 아닐 수 없다. 이런 행보가 자신이 강조해온 원칙에 맞는지도 의문이다. 박 전 대표는 지난 4월 경주 재선거 당시, 공천을 받아 낙선한 사람을 다시 공천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이번에 박 전 대표가 지원하는 인사가 바로 그런 경우다. 원칙보다는 계파 이익을 우선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게 됐다.

그러잖아도 한나라당 안에선 공천이나 박 대표의 사퇴 시기 등을 놓고 계파 갈등이 심각하다. 당권 장악 따위 이런저런 계산에서 나온 다툼일 것이다. 그런 집안싸움에 열중하다 형식적으로나마 남아 있는 정당정치와 의회민주주의의 기본 틀까지 훼손하진 말아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