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8.16 21:53 수정 : 2009.08.16 21:53

국내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환자가 20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사망자가 2명 발생했다.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당국과 병·의원의 안일한 대처로 환자들이 치료 시기를 놓쳐 결국 두 사람이 사망에 이른 점이다. 당국이 지역사회 내부 감염이 늘고 확산 속도도 빨라지는 등 상황이 심각하다며 지난달 21일 전염병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했으나 현장의 대응 태세는 별로 달라지지 않은 탓이다.

당시 보건당국은 환자 발생 속도와 규모를 늦추는 ‘봉쇄·차단’ 정책에서, 중증 환자나 사망자 발생을 줄이기 위해 조기 치료에 중점을 두는 ‘피해 최소화’ 정책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타이를 방문하고 돌아와 그제 숨진 50대 환자의 경우, 가족들이 신종 플루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음에도 고열 발생 일주일 뒤에야 겨우 검사를 받고 환자로 확진됐다. 어제 숨진 60대 환자는 그 기간이 2주나 됐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그제 숨진 환자가 마지막 간 병원이 신종 플루 지정병원이었는데도 대응이 늦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주로 가정의학과나 내과를 중심으로 지침을 내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병·의원 이용 실태에 비춰 볼 때 안일한 판단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감기 같은 질병에 걸린 환자는 가정의학과나 내과에 못잖게 이비인후과에도 많이 가며 그 밖의 다른 의원이나 한의원까지 간다. 보건소와 모든 병·의원으로 확대해 치료 지침을 내려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

각종 인플루엔자가 극성을 부리는 가을과 겨울을 앞두고 있어 더 걱정이다. 세계보건기구는 가을에 신종 플루가 본격화할 경우 사망자 수가 1000명당 20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며, 각국에 인구의 20% 분량의 타미플루를 비축하라고 요구한다. 그러나 우리의 비축 물량은 그 절반에 불과한 500만명분에 그친다. 정부가 현재 비축 물량의 10%를 급히 풀어 예방과 치료에 쓰겠다고 하니 추가 비축 물량 확보가 더 시급해졌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국민들도 정부의 예방·치료 대책만 믿고 있어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손 씻기와 술잔 안 돌리기 등 자체 예방 노력을 다 해야 한다. 고열 등 신종 플루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보건소에 신고하고 외부 접촉을 피하는 등 확산 저지 노력에도 만전을 기해야 함은 물론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