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8.20 21:17 수정 : 2009.08.20 21:17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장으로 결정됐다. 보수세력 한쪽에서 ‘디제이 국장’을 극렬하게 반대한 점을 생각하면 정부의 이런 결정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국장·국민장을 결정하는 법률적 근거인 ‘현저한 공훈과 국민의 추앙’에 대한 판단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민주화와 한반도 평화를 향한 고인의 헌신과 현저한 업적을 고려할 때, 일부 극소수 반대자를 제외하고는 국장에 어느 정도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고인의 마지막 길을 최대한 예우를 갖춰 배웅하는 것은 상심에 젖은 국민의 마음을 다독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김 전 대통령의 묘역을 박정희 전 대통령이 묻힌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으로 정한 것도 상징적 의미가 크다. 한국 현대사를 관통해온 양대 흐름인 산업화와 민주화의 두 상징이 사후에 한곳에서 만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이제 장례 형식과 장지 등이 결정된 만큼 소모적인 논쟁은 접었으면 한다. 특히 일부 보수세력이 고인을 향해 입에 담지 못할 욕설까지 하면서 국장 거부 운동을 벌이겠다고 나선 것은 보기 민망하다. 고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아닐뿐더러, 화해와 통합의 분위기에도 찬물을 끼얹는 행위다.

국장으로 결정된 데는 이명박 대통령의 결단이 주효했다고 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그 배경에 대해 “유가족의 뜻을 존중하고 사회통합의 의의를 찾고자 함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의 이런 결정이 단순한 정치적 상황돌파용이 아니라 고인과 나라의 장래를 위한 진심의 발로라고 믿고 싶다. 그리고 이런 미래지향적 정신을 앞으로 국정운영 전반에서 더욱 발휘해주길 기대한다.

이 대통령은 무엇보다 고인이 숨지기 직전까지 외쳤던 민주주의·서민경제·남북관계의 3대 위기에 대한 고언을 진지하게 되돌아보길 바란다. 그것은 고인이 현 정부를 비방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진심으로 잘되길 바라는 애정에서 나온 발언이었다. 때맞춰 북쪽에서 조문단도 내려온다. 북쪽 조문단을 놓고 정부 안에서는 ‘남북관계 개선 활용론’과 ‘조문 역할 한정론’이 맞서고 있다고 한다. 남북간 화해와 협력을 증진하겠다는 정부 의지가 분명하다면 이런 논란은 생기지도 않을 것이다. 김 전 대통령의 서거로 모처럼 조성된 국민 화합, 남북 화해의 분위기를 이 대통령이 앞장서 더욱 발전시켜 나가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