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8.27 21:19 수정 : 2009.08.27 21:19

민주당이 어제 국회 복귀를 전격 선언했다. 날치기 처리된 언론관련법의 원천무효를 주장하며 원외투쟁을 벌여왔으나 결과는 별무소득이다. 그 불가피성을 인정한다 해도 난감한 노릇이 아닐 수 없겠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때처럼 민주당은 이번에도 ‘원외투쟁-한나라당의 무대응-국회 복귀’라는 공식을 되풀이했다. 한나라당이 꿈쩍도 하지 않는 상황에서 민주당이 처한 곤혹스럽고 답답한 처지는 충분히 이해된다. 하지만 지도부의 전략 부재에 대한 비판은 피하기 힘들다. 앞으로 민주당이 원외투쟁 방침을 밝혀도 여당은 겁을 먹지 않을 것이고, 유권자들도 시큰둥할 것임은 불 보듯 하다.

민주당은 국회 등원을 하더라도 언론관련법의 원천무효 투쟁은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거기에만 힘을 쏟을 수 없는 상황이니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당장 국회에 들어가면 선거제도 및 행정구역 개편을 비롯해, 4대강 사업과 관련한 새해 예산안 문제 등 만만찮은 과제가 산적해 있다. 언론관련법 무효화에 계속 힘을 집중할 수 있을지부터 회의적이다.

기왕에 민주당이 등원을 결정했다면 이번 기회를 당의 진로와 미래에 대한 근원적 고민에 박차를 가하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지금 민주당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고 있다. 당의 큰 버팀목이었던 김대중·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의 서거는 민주당에는 큰 상실이지만, 동시에 당이 거듭날 수 있는 새로운 전기가 되기도 한다. 문제는 앞으로 민주당이 제1야당에 걸맞은 새로운 가치와 비전을 제시하고, 자생력과 경쟁력을 갖춘 대안정당으로 도약할 수 있느냐다. 그러자면 지금까지 당의 노선과 철학, 운영 방식을 철저히 반성하고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개혁세력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외연을 넓혀 나가는 노력도 시급하다.

이 대목에서 민주당이 요즘 보이는 모습은 매우 실망스럽다. 여권이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오히려 역공의 기회로 삼아 정국 주도권을 회복해 나가고 있는 반면에 민주당은 이렇다 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 민주당 지지도가 거의 정체상태에 머물고 있는 것도 민주당의 분발을 촉구한다. 민주당이든, 당에 몸담고 있는 정치인 개인이든, 전직 대통령의 적자 논쟁이나 유산 다툼 따위에 매몰돼서는 내일을 기대할 수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