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신종플루, 총력 대응 체제 갖췄나 |
학교들이 개학하고 신종 플루로 인한 사망자가 3명으로 늘어나면서 정부가 다시 종합대책을 내놨다. 모두 1500만회 분량의 백신을 확보해 11월 중순부터 접종을 시작하며, 치료제 타미플루도 연말까지 1000만명분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백신과 치료제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발표한 것은 당연하다.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최대한 노력하기 바란다. 하지만 예방접종이 시작되고 효과가 나타나려면 아무리 일러도 12월이 돼야 한다. 따라서 9~11월 석 달 동안에는 일상적인 방역과 치료로 대처할 수밖에 없다. 기온이 내려가면 바이러스도 퍼지기 쉬우므로 신종 플루 대량확산 차단에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부 발표대로 일선에까지 총력 대응 체제가 갖춰지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감염 위험이 상존하는 학교들에서는 발열검사조차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 체온계와 마스크 등 장비가 절대 부족하고 학교 당국의 대응도 체계적이지 않다. 머리와 손발이 따로 노는 형국이다. 이런 때에 경기 지역 보건소장들은 집단으로 국외연수를 나섰다고 하니 한심한 일이다. 자리를 비운 본인들도 문제지만 관계 당국이 신종 플루에 얼마나 안이하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확진 환자가 하루 250여명씩 발생하는 상황이다. 말로만 총력 대응을 외치지 말고 일선 방역체계 강화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확산을 막는 것 못지않게 감염자에 대한 신속한 치료 체계를 갖추는 일도 중요하다. 지금까지 사망자들은 초기 진단에 실패해 시간을 끌다가 생명을 잃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되지 않으려면 일선 의료기관들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정부와 보건소가 나서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위험군에 속하는 노약자들은 감염 이후 3~4일 만에 급속하게 상태가 악화할 수 있어, 일선 의사들의 판단이 더욱 중요하다. 정부의 적극적 대응과 의료기관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