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9.23 21:20 수정 : 2009.09.23 21:20

올해 말 코펜하겐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앞두고 그제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 정상회의가 적어도 총회의 모멘텀을 살리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계 최대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이 2020년까지 배출량을 현저하게 줄이겠다고 약속하는 등 각국이 좀더 진지한 협상 자세를 보인 덕분이다. 코펜하겐 총회에서는 2012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신할 새 기후변화협약을 논의한다.

이번 정상회의 전까지는 이 총회에 대한 회의론이 우세했다. 구체적 감축 목표와 감축 속도 등을 둘러싼 각 나라의 의견차가 워낙 커서다. 특히 미국은 중국·인도 등 개도국들이 구속력 있는 감축 목표치를 제시해야 기후변화협약에 참여할 수 있다고 버텨왔다. 반면 개도국들은 지구 온난화에 더 큰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들이 더 많은 부담을 져야 한다고 맞섰다.

이런 상황에서 후 주석의 ‘현저한 감소’ 약속은 논의의 돌파구를 여는 의미를 지닌다. 다른 개도국은 물론 미국을 견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협약은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이 주도적인 구실을 하지 않으면 제 기능을 할 수 없다. 1997년 채택된 교토의정서도 상원의 인준을 받는 데 실패한 미국의 탈퇴로 동력을 상실했다.

지금의 지구 온난화 상황은 당시보다 훨씬 나쁘다. 협약에 소극적이었던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조차 “세계가 기후변화에 당장 대응하지 않는다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지 않을 수 없는 정도다. 그럼에도 미국은 유감스럽게도 아무런 새 제안도 내놓지 않았다.

이제라도 각국은 협소한 자국의 이익을 넘어 세계적인 위협에 공동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무엇보다 미국의 적극적인 태도가 열쇠다. 오바마 대통령은 의회를 설득해 세계적 대의에 동참할 수 있게 하는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 중국 또한 구체적 목표치를 제시함으로써 ‘G2’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 우리 역시 적극적 태도가 필요하다. 일본의 새 정권은 2020년까지 90년 대비 25%란 감축 목표를 내세우며, 이 분야에서 국제적 주도권을 확보하려 한다. 환경산업을 새로운 지속가능 발전의 원천으로 삼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갖고 있다. 머뭇거리다간 주도권을 이들에게 모두 내주게 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