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10.12 21:00 수정 : 2009.10.12 21:00

효성그룹과 관련한 범죄 의혹이 줄줄이 터져나오고 있다. 해외 비자금 조성, 주식 편법증여 따위 위법 가능성이 큰 의혹들이다. 그런데도 검찰은 본격 수사도 없이 사건을 덮었다. 효성이 이명박 대통령의 사돈이 운영하는 그룹이니, ‘눈치 보기’ 아니냐는 의심을 피할 길 없다.

이번 사건은 기업 비리의 백화점이라 할 만하다. 효성은 해외 법인들과의 거래에서 거래대금 과잉지급, 부실채권 부풀리기, 수수료 부당지급 등의 방법으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2008년 초에 작성된 검찰의 첩보보고서에 있다는 내용이다. 이에 앞서 금융정보분석원과 국민권익위원회도 관련된 첩보와 자료를 검찰에 넘겼다. 기업 비리 사건에서 이 정도로 구체적인 첩보가 있는 경우도 드물다.

그런데도 검찰은 계열사 임원의 사기 및 건설부문의 비자금 조성 사실만 확인한 채 지난달 말 수사를 종결했다. 1년6개월이나 수사를 벌인 결과라기엔 빈약하기 짝이 없다. 열심히 수사해 그런 결론을 내린 것도 아니다. 검찰은 효성의 건설부문에 대해서만 압수수색을 벌였을 뿐, 그룹이나 오너 쪽은 아예 손도 대지 않았다. 처음부터 그렇게 선을 긋고 시작했다. 검찰은 해외 비자금 추적이 여의치 않다는 변명도 했지만, 다른 사건들에선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면서 유독 이번에만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는 대지 못했다.

검찰은 주식 헐값 인수에 대해서도 눈을 감은 듯하다. ㈜효성은 계열사인 노틸러스효성의 매출 확대가 뻔히 예상되던 시점에 액면가의 10분의 1도 안 되는 헐값으로 보유 지분의 40% 이상을 오너 3세들에게 넘겼다. 그런 의혹은 시민단체들이 오래전에 제기했고, 검찰 첩보보고서에도 구체적인 수치와 정황이 나와 있다고 한다. ㈜효성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에서도 경영권 편법승계를 위한 특혜 의혹이 있다. 효성을 둘러싼 의혹은 이것만이 아니다. 검찰에서 기소중지된 방위산업 비리 사건도 있고, 오너 3세가 출처 불명의 돈으로 수십억원대의 해외 부동산을 산 의혹도 있다. 주식 지분을 인수한 돈이 누구 돈인지, 세금은 냈는지도 의심스럽다.

불법 의혹이 이렇게 한둘이 아닌데도 검찰이 손을 놓고 모른척했다면 직무유기라고 볼 수밖에 없다. 의심은 덮는다고 사라지지 않는다. 검찰은 지금이라도 효성을 둘러싼 의혹을 전면 재수사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