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재보선에서 두 번이나 ‘옐로카드’ 받은 이명박 정권 |
한나라당이 지난 4·29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이어 10·28 선거에서 또다시 참패했다. 한마디로, 민심이 이명박 정권의 오만과 독선에 두 번이나 옐로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은 서민경제와 민주주의, 남북관계를 파탄 낸 이명박 정부를 심판해줄 것을 호소했다. 이에 한나라당은 지역발전을 위해 힘 있는 일꾼을 뽑아달라고 맞섰다. 뚜껑을 열어본 결과, 유권자들은 이번 선거의 승부처인 경기(수원 장안, 안산 상록을)와 충북(증평·진천·괴산·음성) 등 세 곳에서 모두 한나라당을 외면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텃밭이자 ‘거물급’인 박희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출마한 경남 양산에서도 지명도가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민주당 후보와 피 말리는 접전을 벌였다. 선거 전부터 일찌감치 승부가 한나라당 쪽으로 기운 강원 강릉을 빼면, 한나라당이 일패도지를 당한 셈이다.
한나라당이 중부권 3곳에서 모두 진 것은, 이벤트만 있고 내실이 없는 이명박 정권의 서민·중도실용 노선에 대해 국민이 냉엄한 심판을 내린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대통령은 노무현·김대중 전 대통령의 잇단 죽음 이후 바닥에 떨어진 인기를 만회하기 위해 재래시장·농촌 등을 방문하며, 지지율을 한때 50%선까지 끌어올렸다. 하지만 부자 중시와 반서민 정책, 비판세력에 대한 탄압과 통제 정책은 전혀 바꾸지 않았다. 오히려 강화했다. 급기야 4대강과 세종시, 김제동씨의 방송 하차 문제 등이 불거지면서 서민·중도실용의 허상이 드러나고, 지지율도 내리막을 탔다. 이번 선거 결과는 이런 흐름의 연장선 위에 있는 것이다.
민주당이 양산에서 박희태 한나라당 전 대표와 대접전을 벌인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가 정권 차원의 표적·보복 수사였음을 유권자가 공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는, 한나라당의 전통적인 강세 지역에서 무명의 야당 후보가 맹활약을 펼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이번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말로만의 서민·중도실용이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과 행동이 따르는 진정성 있는 서민·중도실용 정책을 민심은 원한다. 정부·여당이 도도한 민심의 흐름을 외면하고 계속 반서민·반민주·반통일 정책을 추구한다면, 내년 지방선거에선 옐로카드가 아니라 레드카드를 면치 못할 것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