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10.29 22:09 수정 : 2009.10.29 22:09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이 갈림길에 섰다. 10·28 재보선 결과는 현 정부·여당의 환골탈태가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특히 이 대통령에게는 국정 운영 기조의 대전환이라는 절체절명의 과제를 안겼다. 표면적으로는 한나라당의 패배이지만 실제로는 이 대통령에 대한 유권자들의 냉엄한 평가이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의 새로운 출발은 우선 선거 결과가 ‘정권에 대한 심판’이었음을 인정하는 데서 시작돼야 한다. 이 대통령은 어제 재보선 결과에 대해 “일자리 창출과 서민경제 살리기를 위해 더 분발하고 매진하라는 채찍과 격려”라고 평가했다. 이것이 진심은 아니겠지만, 만에 하나라도 진정으로 그렇게 믿고 있다면 민심의 소재를 잘못 짚어도 한참 잘못 짚은 것이다.

여당 패배의 원인은 일자리 창출 부진 정도의 차원을 떠나 좀더 깊고 근원적인 데서 비롯됐다. 그것은 바로 오만과 독선이요, 약속의 번복이고, 소통의 부재다. 용산 참사 묵살, 4대강 사업 강행, 언론관련법 밀어붙이기, 세종시 공약 파기, 행정구역 강제 재편, 김제동·손석희씨 등 눈 밖에 난 방송인의 강제 퇴출 등 감표 요인을 열거하자면 끝이 없다. 이런 사안들에서는 시대 흐름에 역행하면서 중도실용이니 친서민 정책이니 하는 따위의 포장술로 유권자들을 속일 수 있으리라 여겼다면 큰 착각이다.

진단이 정확히 내려지면 처방 역시 명확해진다. 그리고 처방은 결코 새로울 것도 없는 것들이다. 첫째는 국정 운영의 겸허한 자세다. 공권력의 힘으로, 의회 의석수의 힘으로, 모든 것을 밀어붙이면 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둘째는 민주주의 회복이다. 우리 사회가 어렵게 키워온 소중한 가치들이 무참히 부정되는 현실에서 떠난 민심은 결코 돌아오지 않는다. 셋째는 신뢰의 복구다. 어제 한 말과 오늘 한 말이 다르고, 과거의 약속이 오늘은 휴짓조각이 되는 상황에서 민심은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에 남겨진 시간이 많은 것도 아니다. 변화의 속도가 느릴수록, 강도가 약할수록 앞으로 닥칠 결과는 더욱 가혹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