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11.18 22:50 수정 : 2009.11.18 22:50

한국 사교육의 진원지로 비판받아 온 외국어고(외고) 문제를 낳는 근본 원인의 하나가 이른바 ‘명문’ 사립대학에 있음이 재확인됐다. 이 대학들은 수시모집에서는 특별전형 정원을 늘리고 정시에서는 수능만으로 뽑는 비율을 확대하는 등 외고생에게 유리한 전형제도를 통해 외고 진학 열풍을 부추겨 왔다.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이 어제 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 등의 2010학년도 수시1차 전형 결과를 분석해 발표한 내용을 보면, 이 대학들은 올해 일제히 외고 학생에게 유리한 특별전형 인원을 크게 늘렸다. 고려대는 지난해 115명 뽑던 세계선도인재 전형 정원을 200명으로, 연세대는 글로벌리더 전형을 275명에서 496명으로 70~80%씩 확대했고, 서강대와 성균관대도 각각 24%와 10%씩 늘렸다. 그 결과 지난해 72명이던 세계선도인재 전형의 외고생 합격자가 105명이 되는 등 이들 대학의 외고생 합격자가 대폭 늘었다.

이런 특별전형은 일반 학교의 정상 수업을 통해선 도달할 수 없는 수준의 토플이나 텝스 점수를 요구한다. 결국 이들 전형은 외고에 보내거나 외국 유학 등 영어 사교육에 많은 돈을 들일 수 있는 일부 기득계층을 위한 것인 셈이다. 그런데도 이들 대학은 이 특별전형 정원을 전체 수시 정원의 20% 안팎(연세대는 35.5%)까지 키웠다. 이것도 모자라 이들은 정시 인원의 70%가량을 수능 점수만으로 뽑는다. 내신이 불리한 외고생에 대한 또다른 배려다. 반면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대한 이들 학교의 관심은 인색하기 짝이 없다. 외고생을 위해선 이중 삼중으로 고려하는 이들 대학이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한 배려에서는 몇 년째 생색 내기 수준인 정원의 1~2%로 고착시키고 있을 뿐이다.

이렇게 대조되는 흐름을 보면 이들 사립대학이 최소한의 사회적 책임 의식이라도 갖춘 집단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자신들의 외고 편중 정책이 한국 교육을 얼마나 병들게 하는지, 국민들에게 얼마나 심각한 사교육비 부담을 안기는지 따위에 대한 고민과 반성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렇게 무책임한 대학과 외고를 그대로 두고선 중등교육을 바로잡을 수 없다. 얼마 전 외고 폐지까지 포함하는 여러 개선책이 얘기되다가 최근에는 그마저 중단된 상태다. 정부와 국회는 당장 외고 폐지 논의를 재개해야 마땅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