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잔꾀로 포장된 ‘문화방송 장악 작전’ |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가 그제 <문화방송>의 보도와 제작 담당 임원들을 해임함으로써, 정권의 문화방송 장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다. 문화방송의 최대주주인 방문진의 이번 조처는 방송 내부 인사까지 직접 관장하는 ‘섭정’을 공식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만으로도 공영방송으로서 문화방송의 위상은 심각하게 손상되었다. 보도·제작의 독립성도 위기에 처했다.
이 과정에서 방문진이 엄기영 사장의 사표를 반려함으로써 그를 재신임한 것은 잔꾀로 포장된 졸렬한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방문진은 실무 임원진을 선임해 그들의 뜻대로 보도·제작하게 하고, 그로 말미암은 문제는 엄 사장에게 떠넘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엄 사장이 물러나기를 각오하지 않는 한 문화방송은 방문진의 의도에 놀아나는 건 피하기 어렵다. 게다가 엄 사장은 방송 독립성을 요구해온 구성원들로부터도 외면당하게 생겼다. 당장 문화방송 노조는 “방문진의 재신임을 받은 엄 사장을 더 이상 공영방송 사장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은 무엇보다 방문진의 집요한 문화방송 장악 노력에 따른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엄 사장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 방문진의 압력이 아무리 거세도 엄 사장이 혼자 물러날 각오로 맞섰다면 상황은 여기까지 오지 않았을 것이다. 경영진 전원의 사표 제출은 방문진의 처분을 따르겠다는 항복 선언이나 다름없는 것이었다. 실제로 사표의 선별 처리는 방문진 이사회 전부터 예상되던 시나리오의 하나였다.
이제 공영방송을 지키는 일은 문화방송 구성원들의 몫이 됐다. 보도·제작 책임자가 정부의 의지에 따라 바뀌는 사태를 두고 볼 수 없다는 건 방송인들이 더 잘 알 것이다. 그런데도 이번 사태를 그냥 넘긴다면, <한국방송>에 이어 문화방송까지 정권에 장악당함으로써 한국의 공영방송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 이는 결국 방문진이나 엄 사장뿐 아니라 문화방송 구성원 전체도 공정한 방송을 원하는 시청자들로부터 외면당하는 사태로 이어질 것이다.
문화방송 독립을 위한 싸움은 곧 공영방송을 지키기 위한 싸움이다. 방송인들이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면 시민사회도 힘을 보탤 것이다. 이렇게 힘이 모이면 방송을 권력의 앞잡이로 만들려는 정권과 방문진의 음모는 막아낼 수 있다. 엄 사장도 방송인으로서 양심을 지키겠다면 여기에 동참해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