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12.20 19:19 수정 : 2009.12.20 21:48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도 나오기 전에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 맨 앞에는 정운찬 국무총리가 있다. 정 총리는 지난 주말 취임 후 네번째로 충청지역을 방문했다. 겉으로는 ‘민심 탐방’이라고 하지만 주된 목적은 세종시 홍보에 있었다. 연말 각종 국정현안이 산적한 상태에서 내각의 총사령탑인 총리가 세종시 홍보에만 온통 머리를 싸매고 있으니 딱한 노릇이다. 정 총리가 세종시에 보이는 열의의 반이라도 용산참사에 쏟았으면 사태가 벌써 해결되고도 남았으리라는 아쉬움도 금할 수 없다.

일의 순서를 따지자면 정 총리가 먼저 해야 할 일은 세종시 수정안을 완성하는 일이다. 수정안을 내놓고 난 뒤 홍보를 하든 민심을 다독이든 하는 게 정상이다. 게다가 정 총리의 행보를 보면 진정으로 주민과 소통하려는 자세와도 거리가 멀어 보인다. 지난 19일 청주에서 열린 시민사회단체 간담회에서 정부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자, 어제 대전에서 열린 조찬간담회에는 원안 수정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모두 초청 대상에서 빼버렸다고 한다.

세종시 여론몰이에는 정 총리뿐 아니라 관계부처 장관들이 총출동한 양상이다. 주호영 특임장관은 요즘 거의 충청지역에서 살다시피 하고 있고,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등도 앞다투어 충청지역을 찾고 있다. 문제는 이들의 행보가 단순한 민심 다독이기 차원을 넘어섰다는 점이다. 권태신 국무총리실장은 얼마 전 “세종시 원안을 고집한다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다른 지역에 줄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그는 심지어 “우리나라는 떼법과 ‘배째라법’이 제일 먼저”라는 막말까지 했다고 한다. 고위 공무원의 자질을 의심하게 하는 상식 이하의 발언이다. 정부가 이렇게 고자세로 나오니 충청권 민심이 더욱 악화하는 것이다.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위원들이 외국의 유사 사례 연구를 명목으로 독일 방문 길을 떠난 것도 썩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 수정안 발표를 코앞에 두고 이제 와서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겠다는 것부터가 이해되지 않는다. 방문의 진짜 목적은 아마도 독일의 정부부처가 본과 베를린으로 분산된 데 따른 불편함을 긁어모아 홍보전에 활용하려는 데 있지 않나 싶다. 정부와 민관합동위 모두 세종시 문제를 홍보와 선전 차원에서만 접근하려고 하니 씁쓸할 뿐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