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12.24 21:40 수정 : 2009.12.24 21:40

현대자동차 노사가 파업 없이 임금과 단체협약 협상을 마무리했다. 엊그제 이뤄진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대한 노조 투표 결과, 62.2%의 찬성으로 완전 타결에 이른 것이다. 한해 동안 파업 없이 임단협을 타결한 것은 1994년 이후 15년 만이다. 해마다 노사가 강경대응하며 홍역을 치른 점을 생각하면 이번 무파업 타결은 큰 의미를 갖는다.

현대차 노조는 87년 출범 이후 연례행사처럼 파업을 벌여왔다. 단체행동권은 노조의 당연한 권리인 만큼 파업 자체를 탓할 일은 아니다. 또 파업의 책임을 노조 쪽에만 물을 수도 없었다. 회사 쪽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경영행태가 파업을 불러오는 경우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파업 없이 임단협을 타결한 것은 생산적 노사관계를 향한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합의안 내용을 보면, 회사 쪽은 임금(기본급) 동결이란 명분을 얻었고 노조 쪽은 총고용 보장과 상여금 300% 등 경제적 실리를 챙겼다. 노사 어느 쪽이 더 많은 이익을 봤느냐를 따지기 전에 노사가 대화와 협상을 통해 절충점을 찾은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하지만 합의안에는 아쉬운 대목도 있다. 노조는 총고용을 보장받으면서 정규직만을 대상으로 하고 비정규직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정규직의 경제적 실익만 챙기고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의 처우는 외면한 것이다. 경제적 약자를 함께 끌어안고 가야 할 대기업 노조의 사회적 역할을 포기한 셈이다.

이번 무파업 타결이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노사관계가 성숙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판단하기엔 아직 이르다. 대다수 노조원들이 집행부의 잠정합의안에 동의해준 것은 지난 10월 출범한 새 집행부에 대한 배려 측면이 있는데다 경제위기라는 특수상황을 고려한 것일 터이다. 노조원의 37.4%가 잠정합의안에 반대한 점도 노조 집행부에는 적잖은 부담이다. 특히 내년에는 노조 전임자 임금 문제 등 노사간 이해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정치적 현안들이 대기하고 있다.

현대차가 명실상부한 세계적 기업으로 도약하려면 노사가 이런 장애물을 넘어 상호 존중과 신뢰를 이뤄야 한다. 그래야만 노사가 상생하고, 기업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게 된다. 이번 무파업 임단협 타결이 이런 성숙한 노사문화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