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1.08 21:08 수정 : 2010.01.08 21:08

용산참사 희생자 다섯 명의 장례식이 오늘 열린다. 사건 발생 뒤 1년 가까이 차디찬 냉동고에 갇혀 있던 희생자들이 이제야 양지바른 곳에 묻히게 됐다. 희생자들의 가여운 넋이 저세상에서나마 편안한 안식을 찾게 되길 진심으로 기원한다. 그동안 상복도 벗지 못한 채 비탄의 눈물로 지샌 유족들에게도 진심으로 위로의 말을 보낸다.

돌이켜보면 여기까지 오는 데도 무척 험하고 먼 여정이었다. 비정하고도 잔인한 권력, 약자에게 가혹하기만 한 자본의 맨얼굴을 우리는 똑똑히 보았다. 우리 사회의 정의나 인권, 민주주의의 토대가 얼마나 허약한지도 온몸으로 실감했다. 이번 장례식이 단순한 용산참사 희생자 장례식에 그칠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번 장례식은 우리 사회의 반인권·비민주를 장사지내고, 인간다운 세상을 꿈꾸고 소망하는 자리여야 한다. 서로가 서로를 보듬어주는 사회, 가난한 이들이 희망을 품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다짐의 자리여야 한다.

하지만 희생자들의 마지막 가는 길을 향해서까지 헐뜯기가 난무하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일부 언론에서는 “법질서를 유린한 사람들에게 범국민장이 가당키나 한 말이냐” “사회를 뒤흔드는 불쏘시개로 삼아보자는 것”이라고 목청을 높인다. 눈곱만큼의 연민이나 동정도 찾아볼 수 없다. 유가족들의 아픈 가슴을 다시 한번 후벼파는 매정하고 잔인한 칼날만이 번득인다. 상식과 인륜이 통용되고, 다른 사람의 불행을 함께 가슴 아파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번 장례식이 새로운 시작이 되려면 우선 용산참사의 본질을 좀더 명확히 자리매김하는 작업부터 서둘러야 한다. 희생자들이 ‘정당한 공권력에 저항한 폭도’로 매도되는 현실을 계속 방치하는 한 진전은 기약할 수 없다. 마침 용산참사 사건 항소심 재판부가 검찰의 미공개 수사기록 3000여쪽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니 한번 기대를 걸어본다. 참사의 근본원인이었던 재개발 정책의 획기적인 전환도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성탄절 전야인 지난해 12월24일, 서울 동교동의 두리반이라는 한 식당에 철거반원들이 들이닥쳐 세입자들을 엄동설한에 내쫓았다. 이런 비극이 어찌 이곳 한 군데에 그치겠는가. 장례식이 새 출발점이 돼야 할 이유는 바로 용산참사 이후에도 변하지 않는 이런 현실 때문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