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민주노총 새 지도부의 과제 |
민주노총이 그제 대의원대회를 열어 철도노동자인 김영훈 전 운수산업노조 위원장을 새 위원장으로 뽑았다. 3년 동안 조직을 이끌 김 위원장은 40대 초반의 젊은 노동운동가다. 그에게는 창립 15년째로 접어든 민주노총에 새바람을 불어넣고 추락한 위상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가 놓여 있다.
민주노총이 과거 위상을 되찾는 것은 단지 조합원들만의 관심사는 아니다. 민주노총은 인간다운 삶을 위한 노동조건의 확보뿐 아니라 남녀평등, 사회개혁을 통한 국민의 삶 개선, 민주와 통일을 목표로 출범한 조직이다. 그리고 그동안 이런 목표에 따라 민주·진보 세력의 중요한 축으로 활동해왔다. 이런 위상을 생각할 때, 민주노총의 혁신은 사회운동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기로 작용할 여지가 크다. 그만큼 민주노총 새 지도부의 어깨가 무겁다.
하지만 민주노총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은 결코 만만치 않다. 내부적으로는 이번 선거 과정에서도 엿보였듯이 정파간 갈등이 큰 문제다. 김 위원장 또한 특정 정파의 지지를 업고 당선된 만큼 이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지만, 이와 관련한 갈등을 건설적인 토론과 비판으로 승화시키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단결, 업종이 서로 다른 노조 간의 단결도 김 위원장이 이뤄야 할 중요한 목표다.
조직 내부 비리를 뿌리뽑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지난해 크게 논란이 됐던 고위 간부의 성폭력 사건을 제대로 마무리할 필요가 있다. 이 사건은 내부 논란과 무관심 속에 해를 넘기면서도 분명히 매듭지어지지 못했다. 비리 척결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는 것은 외부의 신뢰를 얻는 데도 중요하다.
신뢰와 지지를 넓혀가기 위해서는 활동 목표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민주노총의 위상이 추락한 데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정규직 노동자만을 위한 조직이라는 인상을 준 것도 그 가운데 하나다. 이제는 민주노총의 활동이 소외계층, 나아가 평범한 시민들에게도 이익을 가져다줄 거라는 믿음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신뢰와 지지를 얻는다면 민주노총의 위상은 저절로 강화될 것이다.
민주노총은 이제까지 민주화 투쟁에서 중요한 몫을 담당한 조직이다. 민주노총이 이런 기능을 다시 회복하길 민주노총 안팎의 많은 이들이 바라고 있다. 새 지도부가 이런 기대에 부응해 혁신을 이뤄내기를 기대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