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2.01 20:21 수정 : 2010.02.01 20:21

<한국방송>의 국정 홍보 행태가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그제 저녁에는 원전 수출을 기념하는 ‘열린음악회’ 특집방송을 내보냈다. 정부가 원전 수출을 이명박 대통령의 치적으로 부각시키는 상황에서, 이런 프로그램을 방영한 것은 순수하게 비치지 않는다. 정부 홍보에 음악 프로그램까지 동원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제작진은 한국전력의 요청을 받고 국가적인 일이라는 판단에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외부 압력은 없었다는 것이다. 이런 해명을 그대로 받아들이더라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문제가 남는다. 사려깊은 방송이라면 프로그램이 사회에 끼칠 영향까지 신중히 고려해야 마땅하다. 방송 내용이 시청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정말 몰랐다면, 제작진의 인식 수준은 공영방송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공영방송 구성원은 그에 걸맞은 책임의식과 분별력을 지녀야 한다.

한국방송의 최근 행태를 보면 이번 일을 선의로 보아 넘기기가 더 힘들다. 한국방송은 지난 5일에도 ‘기획특집 한국형 원전 세계로’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해 내보냈다. 한국방송이 작성한 프로그램 소개에는 “대통령이 직접 개입해 (수주 실패로 돌아가는) 상황을 역전시킨 과정”이 담겨 있다고 돼 있다. 정부 홍보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앞서 ‘과학 카페’는 농림수산식품부의 협찬을 받아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관한 내용을 방영했고, ‘미녀들의 수다’는 법무부 협찬으로 법질서를 강조하는 내용을 내보냈다. 주말드라마에서 시위대를 일방적으로 매도하고 경찰을 옹호해 말썽을 빚은 것도 얼마 전 일이다. 오락성 프로그램부터 음악회, 시사보도물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총동원해 정부 정책 홍보에 나선 모양새다.

한국방송은 대통령 참모 출신이 사장으로 임명된 이후 왜 이런 일이 부쩍 잦아졌는지 겸허하게 반성해야 한다. 특히 일선 방송인들은 진정으로 자신들이 자율적 판단에 따라 일하고 있는지, 그동안 지켜오던 최소한의 기준마저 내던진 건 아닌지 진지하게 돌아봐야 한다. 시청료 거부운동이 왜 퍼져 나가는지도 따져봐야 함은 물론이다. 최근 한 시민단체가 시청료 거부운동 관련 행사를 하려 하자 한국방송 쪽은 직간접적인 압력을 통해 막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구성원들의 자각과 반성이 없는 한 한국방송이 시청자들의 눈밖에 나는 건 시간문제일 뿐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