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선택이 아니라 의무다 |
정부·기업·비정부기구(NGO)의 사회적 책임을 규정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최종안이 마련됐다. 한차례 표결만 이뤄지면 연말엔 국제표준으로 정식 채택된다.
기업 등이 이익만 추구할 게 아니라 노동·환경·인권·소비자 등의 문제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이 표준안은 앞으로 모든 기업과 비정부기구의 활동 기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는 다국적기업이라도 국제표준에 따른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할 경우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없음을 뜻한다. 강제 규정은 없지만 사회적 책임을 사실상 기업의 의무로 선언한 것이다.
특히 수출을 많이 하는 우리 기업들은 소홀히 넘길 수 없는 내용이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포스코 등 많은 글로벌 기업이 등장했지만, 사회적 책임 면에서 우리 기업들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노동조합에 대한 적대적 태도, 상습적인 협력업체 쥐어짜기, 여성·장애인 등에 대한 편견과 차별, 소홀한 소비자 권익 보호 등의 행태가 엄연히 남아 있다.
최근 도요타자동차 사태는 사회적으로 신뢰받지 못하는 기업이 어떤 어려움에 처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줬다. 우리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사회적 책임에 무심한 기업으로 낙인찍힐 경우 손상된 이미지를 회복하는 데 천문학적인 노력과 비용이 수반된다. 정부와 비정부기구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기업이 적극 나서지 않으면 국제표준은 쓸모없는 것이 되고 만다. 기업은 주주뿐만 아니라 종업원, 협력업체, 소비자, 지역사회 등과 공존하는 가운데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