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공통의 역사인식, 한·중·일 정부의 노력이 중요하다 |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의 동아시아공동체 제안을 필두로 동아시아 평화담론은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하다. 하지만 담론을 뒷받침할 여건은 아직 제대로 조성되지 않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식민지배나 고구려사를 둘러싼 갈등처럼 역사인식 문제도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다.
역사인식의 격차를 줄이려면 역사인식 공유를 위한 노력이 긴요하다. 이런 점에서 ‘아시아 평화와 역사교육연대’가 한·중·일 세 나라 역사교과서를 비교분석해 자국사 위주 서술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관계사 중심으로 서술 형태를 바꿀 것을 제안한 것은 의미가 있다.
동아시아 3국의 공통 역사인식을 만들어가려는 노력은, 교육연대의 이런 분석과 제안처럼 민간 차원에서 더 활발하게 전개돼 왔다. 2005년 ‘한·중·일 공동 3국 역사편찬위원회’가 출간한 <미래를 여는 역사>나 전교조 대구지부와 일본 히로시마현 교직원조합이 함께 만든 <조선통신사>가 대표적인 사례다. 내년에는 <미래를 여는 역사>의 후속편도 나올 예정이다.
물론 정부 차원의 노력도 없지 않았다. 한국과 일본 사이엔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2002년 1기에 이어 2007년 2기가 구성돼 지난해 말 연구작업을 끝내고 이달 23일 최종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2006년 만들어진 중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도 3년간 연구 끝에 지난해 말 보고서를 냈다. 그러나 이들 위원회의 후속 논의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우리 정부는 3기 위원회 구성을 요구했지만 일본 쪽이 보고서를 보고 결정하겠다면서 확답을 않고 있다고 한다.
일본 쪽의 이런 미온적인 태도는 우려스럽다. 불행한 과거를 극복하기 위해 공통의 역사인식을 만들어낸 전범으로 거론되는 독일-프랑스, 독일-폴란드의 공통 교과서는 가해자였던 독일의 적극적인 자기반성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하토야마 총리가 동아시아공동체를 말하려면 자기반성의 의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 더군다나 올해는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이다.
역사인식의 차이를 좁히는 데는 지속적인 대화가 관건이다. 2006년 출간된 독일-프랑스 및 독일-폴란드 교과서 모두 양국 학자들의 수십년에 걸친 대화의 산물이었다. 한·중·일 세 나라는 정부간 역사대화를 지속함과 아울러 그동안 민간 차원에서 이뤄진 성과를 정부간 대화에서 수렴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