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3.03 20:41 수정 : 2010.03.03 20:41

낙동강 함안보의 오염 퇴적토에서 발암물질인 디클로로메탄이 하천수 기준치의 20배가 넘게 검출됐다. 부유물질과 질산성 산소도 기준치의 80~85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가크롬, 시안 등 중금속도 8개 항목에서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검출됐다. 예상대로 퇴적토의 오염도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민주당이 어제 발표한 수치는 퇴적토에 함유된 수분을 분석한 것이다. 따라서 환경부 주장대로 이것을 하천수질환경기준에 바로 적용할 수는 없다. 퇴적토의 수분이 하천수와 섞일 경우 농도가 낮아져 오염 기준치를 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낙동강 전역에 걸쳐 엄청난 양의 준설이 동시에 이뤄진다는 점이다. 기준치를 넘지 않는다 해도 수질이 크게 악화할 것은 분명하다. 깊이 묻혀 있던 오염 퇴적토가 하천수에 드러남으로써 오염된 토양 입자가 대량으로 물속을 떠다니게 된다.

모든 오염물질은 하천에 유입되면 희석되기 마련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발암물질이 포함된 오염 퇴적토를 하천에 그대로 흘려보내도 되는 것은 아니다. 더군다나 환경부가 이런 식으로 안이하게 자신의 임무를 방기해서도 안 된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가 하천수질환경기준과 다르다는 말만 되풀이할 게 아니라 오염 퇴적토가 수질을 얼마나 오염시킬지에 대한 분석에 나서야 한다.

낙동강 퇴적토는 점토 및 미세 흙입자 성분이 68%를 넘는다. 오염물질에 의한 수질악화가 아니라도 준설로 바닥을 뒤집어놓으면 강 전체가 흙탕물로 변한다. 여기에다 보 건설까지 함께 이뤄지면 물의 흐름이 차단돼 낙동강 수질은 최악의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당장 식수 공급을 위해 낙동강 곳곳에 설치돼 있는 취수장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낙동강의 예정 준설량은 310㎞ 전구간을 너비 220m, 깊이 6.5m로 파내는 엄청난 규모다. 그것도 불과 2년 만에 끝내게 돼 있다. 공사보다 더 급한 것은 오염 퇴적토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그리고 준설이 미칠 영향을 냉정하게 평가해야 한다. 경기도는 김문수 지사 취임 초기에 경안천을 준설하려다가 심각한 수질악화 우려 때문에 중단한 바 있다. 무리한 준설작업을 하면서 오염실태 조사와 수질악화 대책조차 없다면 그 사업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는 보지 않아도 뻔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