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3.03 20:42 수정 : 2010.03.03 20:42

세종시 수정안 국민투표 문제를 둘러싼 청와대의 행태가 점입가경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엊그제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세종시 문제는 당이 결론을 내는 게 맞다”며 “현재 국민투표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며칠 전 이동관 홍보수석의 ‘중대결단’ 발언으로 정치권이 벌집 쑤신 듯이 시끄러워지자 직접 나서서 진화를 시도한 것이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해명은 논란을 잠재우기는커녕 오히려 증폭시켰다. ‘현재 하지 않고 있다’는 말은 ‘앞으로는 할 수 있다’는 말이나 마찬가지로 들리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대통령의 발언이 나온 뒤 한나라당 친이계 의원들은 “국회에서 도저히 해결이 안 되면 국민투표로 갈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말을 공공연히 하는 실정이다. 이 대통령의 발언으로 세종시 문제 해결 방법이 정리되기는커녕 오히려 앞날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다.

분란의 시발점이 됐던 이동관 수석의 해명도 전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그는 “국민투표의 ‘국’자도 꺼내지 않았는데 엉뚱한 방향으로 의미를 확대해석한 것”이라고 모든 잘못을 언론 탓으로 돌렸다. 하지만 여러 정황상 언론들이 중대결단을 국민투표로 받아들이리라는 것은 상식에 속한다. 언론인 출신의 이 수석이 이를 모를 리도 없다. 이제 와서 자신의 책임을 언론에 떠넘기려는 무책임한 행태일 뿐이다. 이 수석이 진정 오해를 풀 요량이라면 자신이 말한 중대결단이 무엇을 지칭한 것인지 명확히 해야 하지만, 이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다.

이 대통령과 이 수석의 행태를 보면, 마치 두 사람이 역할분담을 해서 치고 빠지는 전략을 구사하는 듯한 인상마저 풍긴다. ‘대통령의 입’인 홍보수석이 자기 마음대로 대통령의 뜻과 배치되는 말을 할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이 수석이 너무 일찍 ‘천기누설’을 했을 뿐 이 대통령의 마음은 국민투표 쪽으로 기울어 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 또 여론의 반응을 미리 떠보기 위한 풍선이었다는 관측도 있다. 어떤 것이 됐든 결코 떳떳한 태도가 아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세종시 문제는 국민투표의 대상이 아닐뿐더러 국론분열을 잠재우는 수단이 되지도 못한다. 갈등과 분열을 증폭시키는 불행의 씨앗일 뿐이다. 이 대통령은 ‘현재’뿐 아니라 ‘미래’에도 국민투표는 머릿속에서 아예 지우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