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3.05 19:25 수정 : 2010.03.05 19:25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의 정규직 노조가 사내하청 비정규직의 해고를 막기 위한 싸움을 벌이고 있다.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전주공장위원회는 지난달 23일 회사가 비정규직 18명한테 해고를 통보하자 바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특히 해고 대상자들과 함께 일하는 버스부 정규직들은 지난 2일부터 잔업 거부를 시작했고, 어제는 나머지 노동자들도 잔업 거부에 동참했다. 비정규직 18명을 위해 정규직 3500명이 나선 것이다. 큰 공장의 정규직 노조가 비정규직 문제를 자신들의 일처럼 여기며 투쟁하는 일은 흔하지 않다. 게다가 노동운동에 큰 영향력을 끼치는 현대차노조의 연대투쟁이라는 점에서 더 주목할 만하다.

전주공장 노조가 비정규직 해고에 개입하게 된 것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서로 무관하지 않다는 인식에서 비롯됐다. 노조는 어제 내놓은 소식지에서 “비정규직의 정리해고는 남의 일이 아니다”라며 이를 방치하면 결국 칼날이 정규직을 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정규직의 어려움을 배려한 ‘시혜 차원의 연대’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셈이다. 곧 정규직과 비정규직 문제가 직접적으로 얽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노조가 원청-하청 공동투쟁을 통해 ‘비정규직을 포함한 총고용 보장’을 주장하는 것도 이런 인식에서다.

전주공장 노조는 외주로 운영되는 구내식당의 여성 노동자들도 도와주고 있다. 지난 3일 발행된 노조 소식지는, 노조가 직간접적인 개입을 통해 외주 업체의 연월차 삭감 시도를 막았다고 소개하고 있다. 노조는 앞으로도 계속 식당 노동자 문제를 주시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런 식의 노동운동은 그동안 시민사회단체 등에서 소리 높여 요구하던 바다. 심지어 보수적인 인사들조차 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비정규직을 외면하지 말라고 요구해왔다. 이번 현대차 전주공장 사례는 이런 각계의 요구를 정규직들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이젠 이런 활동이 예외로 그치지 않고 노동계 전반으로 확산되도록 돕는 게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민주노총이나 한국노총과 같은 상급 단체들의 관심과 도움이 특히 중요하다.

기업들도 달라져야 한다. 한데 섞여 일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구별해 대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가능하지도 않은 상황이 되었음을 인정할 때가 됐다. 기업들의 적극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