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3.23 20:09 수정 : 2010.03.23 20:09

국민건강보험의 지역가입자 가운데 6개월 이상 보험료를 밀린 가구가 5분의 1에 이른다고 한다. 지역가입자 811만1000가구 가운데 19.2%인 156만가구가 여기에 해당한다. 체납으로 건강보험 혜택을 아예 받지 못하는 사람도 219만7000명이나 된다. 이들은 진료를 받을 수는 있지만 나중에 치료비를 모두 물어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병원에 갈 수 없는 처지다.

전국민 의료보험을 자랑하는 우리가 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안타깝다. 이들 대부분이 연소득 500만원 미만의 극빈층이다. 생계도 어려운 판에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해 부과되는 수십만~수백만원의 병원비를 감당할 수 있겠는가. 사실상 질병이나 사고에 무방비 상태로 방치돼 있는 셈이다. 중요한 것은 사회 양극화가 심해지고 정부 재정이 쪼들리면서 이런 사람들이 더 늘어날 것이란 점이다. 획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지원은 정부의 기본적인 책무다. 돈이 없다는 이유로 병든 사람이 방치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정부는 재정 압박을 이유로 이를 건강보험공단에 떠넘기고 있다. 정부 자체가 2002~2009년 법으로 정한 건강보험 지원액 4조2000억원마저 내지 않고 있다. 게다가 정부가 책임져야 할 의료급여 대상자 가운데 차상위계층(가구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00~120%인 자)의 희귀난치성 질환자와 만성 질환자 등 23만여명을 건강보험에 떠넘겼다. 이에 따라 정부 의료급여 대상자는 2007년 185만명에서 2009년 167만명으로 크게 줄어 들었다. 그러다보니 건강보험공단은 보험료 징수율을 높이기 위해 생계가 어려운 체납자들을 쥐어짜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다. 이게 과연 정부가 취해야 할 올바른 자세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 정부 재정 투입을 늘려야 한다. 빈곤층은 국민의 18%에 이르는데 정부가 지원하는 의료급여 대상자는 3%에 불과하다. 의료급여 대상을 대폭 확대해 난치성이나 만성 질환자만이라도 혜택을 보게 해야 한다. 저소득층에 대한 실효성 있는 보험료 경감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빈곤층은 앞으로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날 것이다.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것보다 시급한 일은 없다. 재정 탓만 하면서 수백만명의 국민을 고통 속에 방치할 수는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