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천안함 참사, 철저한 구조 노력과 원인 규명을 |
우리 해군 병력 104명이 탄 초계함인 천안함이 서해 백령도 근해에서 침몰해 46명이 실종되는 일이 벌어졌다. 결코 일어나선 안 될 대형 참사다. 정부와 군은 실종자들이 살아 있다는 전제 아래 이들 모두를 찾을 때까지 수색·구조에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실종자 구조가 최우선이지만 어떻게 해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를 규명하는 일도 중요하다. 이제까지 정황으로 볼 때 일단 북한의 공격에 의한 것은 아닌 듯하다. 불행 중 다행이다. 만약 이번 일이 북쪽의 의도적인 공격의 결과였다면 사태가 어떻게 비화할지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참사가 일어난 지점이 최전방이고 남북관계가 계속 나빠져온 상황이어서 더 그렇다. 이번 일에 북쪽이 연계됐을 가능성과 관련해 정부가 초기부터 신중한 태도를 보인 것은 적절했다.
이번 참사의 성격을 밝히기 위해서는 폭발이 배의 어디에서 일어났는지부터 가려야 한다. 안쪽이라면 관리 부실이나 돌발 사태 등이 원인일 수 있고 바깥쪽이라면 불발탄이나 기뢰, 암초 등이 작용했을 수가 있다. 이런 이유에다 배 자체의 결함이 결부돼 큰 폭발로 이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길이가 88m나 되는 함정이 20분 만에 60%가 가라앉았다는 군 쪽의 설명에 대해 많은 국민은 미심쩍어하고 있다. 정부와 군 당국은 신속하면서도 철저하게 원인을 밝혀내야 할 책임이 있다.
어떤 이유로 배가 침몰했든 일어나선 안 될 일이 일어난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급작스런 교전 상황이 아닌 한 사전에 전혀 대비할 수 없는 원인이란 없다. 만에 하나라도 이번 일이 우리 군의 안이한 모습을 보여준 것이라면 무척 실망스럽다. 그러잖아도 최근 공군 에프(F)-5 전투기 2대와 육군 500엠디 공격용 헬기가 연이어 추락한 바 있다. 3군이 모두 참사를 겪는 이런 모습을 보고 불안해하지 않을 국민은 없다.
사고 발생 이후 대통령이 주재하는 안보관계장관회의가 여러 차례 열렸으나 국민에게 제공된 정보는 별게 없다. 정부와 군이 혹시라도 안보 또는 정치적인 이유를 들어 진상을 감추거나 왜곡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구조 작업과 원인 규명이 끝나는 대로 엄중한 조처가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이번 일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군과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크게 달라질 것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