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04 21:04 수정 : 2010.04.04 21:04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종교계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천주교계, 불교계에 이어 개신교계까지 집단적인 반대 선언을 하고 나선 것이다.

범종교계가 한목소리로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까닭은 이 사업이 결과적으로 ‘고귀한 생명을 무시하고 죽이는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기독교나 불교 등 모든 종교가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는 생명 존중이다. 그 생명이란 인간뿐 아니라 온갖 동식물을 품에 안은 대자연을 가리킨다. 따라서 생명을 중시하는 종교인들에게 생명을 파괴하는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정부는 이러한 종교계의 4대강 사업 반대 움직임이 일회성에 그칠 것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주교단까지 반대 의견을 밝힌 천주교계는 서명 운동과 함께 전국적인 생명·평화 미사를 지속하고 있고, 불교계도 오는 17일 ‘4대강 생명살림 수륙대재’를 열어 4대강 사업 반대 목소리를 높일 계획이다. 애초 부활절까지만 하기로 했던 개신교 목회자들의 북한강변 유기농단지 릴레이 금식 기도회도 4대강 사업을 중단하는 날까지 계속하기로 했다고 한다.

특히 지난 주말 개신교 목회자 800여명이 ‘생명과 평화를 위한 2010년 한국 그리스도인 선언’을 발표하고,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한 것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개신교 목회자들이 사회문제에 집단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일부 보수적인 종교인들이 종교계의 4대강 사업 반대 취지를 희석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유감이다. 4대강 사업에 찬성한다면 자신들의 논리만 주장하면 될 일이지 ‘좌경화된 일부 사제’ 운운하며 4대강 사업 반대 종교인들에게 ‘색깔 칠하기’를 하려는 건 온당치 못하다. 특히 정부가 이를 악용해 종교계가 마치 4대강 사업을 놓고 찬반으로 갈린 것처럼 여론을 호도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정부 정책 하나하나에 종교계가 시시비비를 가리려 드는 건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4대강 사업은 그 속성상 생명의 가치를 중시하는 종교계가 개입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살아 흐르는 강물을 막고, 강과 함께 살아가는 뭇 생명의 터전인 자연 생태계를 파괴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범종교계의 반대 목소리를 무겁게 받아들여 생명을 살리는 쪽으로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