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천안함 침몰 조사, 한 점 의혹도 남기지 않으려면 |
침몰한 천안함 선체 인양을 위한 준비가 본격화했다. 민·군 합동조사단도 침몰 원인과 경위를 가리기 위한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실종자들을 향한 희망의 끈은 마지막 순간까지 결코 놓을 수 없지만, 3월26일 밤 천안함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밝혀내는 일은 더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
조사의 관건은 국민의 신뢰다. 침몰 현장에서 실종 전우를 구해내기 위해 목숨을 걸고 찬 바닷속으로 뛰어든 해군 장병들의 헌신적인 노력은 감동적이다. 하지만 정부와 군 수뇌부의 사고 대응 모습은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사고 초기 실종자 구조와 수색에선 크고 작은 실수와 시행착오를 저질렀고, 가장 기본적인 사고 발생 시각조차 몇 차례나 고쳐 발표했다. 사고 경위 및 구조 과정에 대한 설명에도 석연찮은 구석이 한둘이 아니다. 성인 남성의 대부분이 군복무 경험이 있는 터에 그런 경험에 어긋나거나 미흡한 설명을 국민이 납득하긴 어려울 것이다. 사고 원인 등과 관련해 온갖 억측과 소문이 횡행하는 것도 군의 설명이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한 탓으로 봐야 한다.
이제 본격화할 진상조사에선 이런 의구심을 남기지 말아야 한다. 사고 발생 이후 접촉이 차단된 생존 장병들의 증언, 사고를 전후한 각종 교신기록 등은 군사보안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 이런저런 의혹 제기에 대해서도 해명을 망설이지 말아야 한다. 지금은 군사기밀과 보안을 내세우기보다 군 존립의 기반인 국민의 신뢰를 확고히 하는 게 더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천안함 침몰의 원인 규명에는 속도보다 정확성이 더 중요하다고 밝힌 것은 올바른 자세다. 천안함 침몰의 책임이 어디 있느냐는 지금 섣불리 예단할 문제가 아니다. 천안함 내부 원인이나 우리 군의 잘못 때문에 빚어진 사고라면 군에 대한 전면적인 재점검이 불가피하다. 국가 위기관리대응능력의 보강도 뒤따라야 한다. 북한 등 외부 공격에 의한 것으로 판명나면 국제적으로 책임을 물어야 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그 파장은 결코 간단치 않을 것이다. 일부 보수언론이 뚜렷한 근거도 없이 외부 공격설을 주장하는 데 흔들릴 일이 결코 아니다. 지금은 국민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제대로 원인을 밝혀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