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11 20:30 수정 : 2010.04.11 20:30

국내 최대 유통단지라는 서울 송파구 문정동의 ‘가든파이브’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2008년 말 준공됐으나 분양률과 입점률이 낮아 아직도 정식 개장을 못하고 텅 비어 있다. 무려 1조300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간 가든파이브가 이 지경이 된 것은 입안 단계부터 입지 선정, 단지 규모와 성격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철저히 가리고, 상권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선 이명박 대통령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가든파이브는 이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있을 때 입안된 사업이다. 청계천 사업으로 쫓겨나는 상인들에게 대체 상가를 마련해 주겠다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그 덕분에 청계천 상인들의 반발을 잘 다독거려 청계천 사업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청계천 상인들은 높은 분양가 등으로 가든파이브 입주를 대부분 포기했다.

가든파이브의 입지나 규모 등은 처음부터 무리한 것이었다. 가든파이브의 규모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코엑스몰보다 6배가 큰 82만㎡이다. 이런 대규모 유통단지를 서울 동남권 귀퉁이에 지어놓고, 서울 한복판인 청계천에서 장사하던 상인들을 불러모은다는 건 애초부터 비현실적인 구상이었다. 그럴듯한 장밋빛 청사진만 흔들어대며 시작했던 사업이 이 지경에 이른 건 사필귀정이다. 결국 이 대통령이 청계천 상인들에게 한 약속은 ‘부도어음’이 되고 만 셈이다.

가든파이브 사업이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며 표류했는데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오세훈 현 서울시장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몇 차례 개발계획을 변경하는 등 상권 활성화 노력을 하긴 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지난달에는 이마트와 뉴코아아울렛 등 대형 유통업체와 입점 계약을 맺었으나 상권 활성화에 얼마나 기여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가든파이브는 정치인인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무분별한 대형개발사업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런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가든파이브 사업 입안 단계부터 진행 과정, 대응 방안 등에 어떤 잘못이 있었는지 꼼꼼히 따져야 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책임을 어떤 방식으로든 물어야 한다. 제대로 된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라도 정책 실패의 원인 규명과 책임 추궁은 반드시 필요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