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15 19:12 수정 : 2010.04.15 19:12

4대강 사업으로 내년 9월 한국에서 열릴 세계유기농대회 개최가 불안하다. 가톨릭농민회, 두레생활협동조합연합회 등 10개 단체가 팔당 유기농단지 철거를 이유로 대회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이들이 불참한다고 해서 유기농대회가 무산되는 것은 아니지만, 국내 농민·환경단체들의 반대와 불참이라는 상황에서 치러지는 대회가 제대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자칫 국제적인 망신만 당할 수가 있다.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위해 철거하려는 팔당 유기농단지는 우리나라 유기농의 발상지다. 상수원보호구역이란 제약 속에서 농민들이 생계를 위해 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이 유기농이었고, 20여년의 노력 끝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유기농 지역이 됐다. 우리나라가 세계유기농대회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런 노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당시 “팔당을 세계 유기농업의 메카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4대강 사업으로 이 지역엔 자전거도로와 생태공원이 들어서게 된다. 깨끗한 수질과 유기농업이 만나 모범적인 농업 육성 사례로 인정받고 있는 지역을 고작 강 주변 정리와 단장을 위해 철거하겠다는 것이다. 정부와 경기도는 대체부지를 조성해 주겠다며 주민들을 회유하고 있다. 그 결과 유기농가의 절반가량이 이전에 합의했다고 한다. 그러나 대체부지는 사유지를 10년 임차하는 형식이어서 유기농업을 계속 이어갈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특히 유기농은 단순히 농약을 쓰지 않는 친환경농업과 달리 토양 환경을 유기농에 맞게 바꾸고 인증을 받는 데만 2~3년이 걸린다. 유기농에 대한 정부의 무지가 딱할 정도다.

팔당 유기농단지는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상징과 같은 곳이다. 농민들의 수십년 땀방울이 배어 있는 곳이다. 정부도 세계유기농대회를 유치하면서 이런 사실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그러나 정작 대회를 한해 앞두고 4대강 사업이란 토목공사를 위해 유기농단지를 없앤다면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다. 무엇보다 국제 유기농 관계자들이 이런 상황을 납득할 리가 없다. 유기농 농가들이 외면하는 반쪽짜리 대회로 전락하거나 국제적인 웃음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 팔당 유기농단지의 명성을 듣고 이곳을 찾은 외국 유기농 관계자들이 중장비로 파헤쳐진 땅을 보고 어떤 반응을 보일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